
안양시의 노인 장예 예방을 위한 스마트 힐링센터’의 부실 운영 사실이 15일 불거져 나왔다.
안양시는 지난해 8월4일 8억2700만원의 예산을 들여 노인들의 우울증, 스트레스, 기억력 퇴보 예방 등을 목적으로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3층에 108㎡ 규모의 스마트 힐링 센터를 설치, 운영을 시작했다. 이 사업에 투입된 예산 절반은 안양시가 협조를 요청했던 경기도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지원받은 것이다.
스마트 힐링센터는 인지력 향상 공간, 신체 능력 향상 공간, 심리적 이완 공간 3곳으로 나뉘며 집중력, 기억력과 같은 인지 재활을 돕는 확장 디스플레이(벽걸이 TV), 우울증 예방을 위한 아이스캔, 태블릿 PC, 노래 치료기 등의 장비가 보유되어 있다. 센터의 운영과정은 전자카드에 등록된 노인 100명이 3개월 과정을 마치면 각 기기의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시켜 다음 단계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을 개발한 인하대 문화경영심리연구소 측은 안양시에 건넨 제안서에서 반드시 전문인력 1명, 보조인력 2명(비상주)을 둬 센터 관리와 운영, 노인들의 체험활동을 도울 것 시에 등을 당부했다.
그러나 시는 스마트 힐링센터가 운영된 이후 9개월째 한 번도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전문 인력조차 배치하지 않았다.
또 힐링센터의 전반적인 업무와 시설관리가 각각 기업 지원과와 노인 장애인로 나뉘면서 업무의 효율성도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월16일 노인장애인과, 기업 지원과와 예산을 지원한 경기콘텐츠진흥원 관계자 등이 모여 힐링 센터 운영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회의를 통해 노인들의 높은 호응도에 비해 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점과 기기의 잦은 고장, 제한적인 콘텐츠 등 부실운영에 공감하고 조치하기로 했으나 3개월이 지난 지금도 개선되지 않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힐링 센터와 무관한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직원이 교대로 노인들의 체험활동을 돕고 있는 실정이며, 흥미를 잃은 노인들은 9개월째 1단계만 반복하기에 불만이 높은 상태다.
시 노인장애인과 관계자는 “스마트 힐링 센터의 시설관리 업무만 기업지원과로부터 넘어왔을 뿐 운영과 관련한 내용은 전혀 알지 못한다”며 “업무가 2개 부서로 나뉘면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 같다”고 전했다.
시 기업지원과 관계자는 “업무 우선순위에서 밀리면서 스마트 힐링센터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며 “조만간 노인, 장애인과와 협의를 통해 전문 인력 배치 등 힐링 센터와 관련한 개선책을 내놓을 계획이다”고 답변했다. [시사포커스 / 김영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