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른바 ‘성완종 장부’에 포함된 야권 인사들 중 하나로 거론된 C 의원을 새정치민주연합 추미애 최고위원 아니냐는 보도를 낸 해당 언론에 대해 17일 추미애 최고위원은 “아무 곳에나 갖다 붙이지 말아달라. 소설을 쓰지 말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추미애 최고위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니셜로 표현했다고는 하나 새정치연합에서 3선 이상의 중진 C 의원은 소수 몇 명이고, 누구라도 쉽게 ‘추미애 의원’이라고 오도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언론중재위 제소는 물론 명예훼손 고소 등 모든 법적인 조치를 취할 것”라고 밝혔다.
그는 ‘경남기업 박준호 전 상무가 1997년 당시 추미애 의원실 비서관이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기억을 더듬어서 (박 전 상무는) 1997년 상반기부터 1년 동안 근무한 7급 비서였고, 당시에 ‘키 큰 친구’라고 기억했다”며 “사건이 일어나서 기사를 읽어보고 알게 된 사람이며 그 친구가 사회적인 주목을 받는 인물이 됐다는 것도 어제(16일) 알았다”고 반박했다.
추 최고위원은 해당 언론을 겨냥해 “저는 경남기업이 어떤 사업을 주로 하는지도 잘 모르고, 오너가 성완종 씨라는 것과 그가 국회의원이었다는 것을 이번 사건을 통해 알았다”고 비난했다.
아울러 그는 “특정 언론에 대해 ‘무분별하게 보도하니 진실을 외면하고 물타기에 나선다’라고 저도 오해할 수 있다”며 “사건의 본질과 진실을 파헤치는데 언론도 노력하고 있다고 믿는다. 같이 진실 규명에 앞장서 달라”고 강조했다.
김성수 대변인도 국회 브리핑에서 ‘여야인사 14명 성완종 장부 나왔다’는 조선일보 기사를 거론하며 “사안의 본질을 흐리려는 검찰의 치고빠지기식 언론 플레이가 또 시작된 게 아닌가하는 강한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사건은 박근혜 정권의 권력 핵심들이 망라된 사상 초유의 집단 뇌물 사건”이라면서 “따라서 검찰 수사는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현 정권 실세들의 혐의부터 철저히 가려내는 데 우선 집중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당도 있다더라는 카더라식의 기사를 흘리는 것은 현 정권에 쏠린 따가운 시선을 돌려보려는 전형적인 물 타기 수법이 아닐 수 없다”며 “혐의가 있다면 여야를 막론하고 성역 없는 수사를 해야 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며 야당도 이를 피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