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유철 광복회장이 자신에 대한 일부 광복회 회원들의 연임 반대 규탄 시위 등에 대해 “부당 행위”라며 강한 유감을 표시하고 나섰다.
박유철 회장은 16일 ‘광복회장 재임 반대에 대한 입장’ 자료를 내고 일부 광복회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했다.
우선 박 회장은 지난 3월 1일, 제96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과정에서 민족대표 33인을 하대하듯 불렀다는 논란에 대해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혔다. 박 회장은 “민족대표 33인 중 일부 인사의 이름 뒤에 본의 아니게 불필요한 조사(~이)를 붙여 해당 독립운동가를 능멸했다는 지적에 대해 고의적으로 그랬던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분명하게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유족들께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 지난번 사과에 이어 다시 한 번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머리를 조아렸다.
하지만, 박 회장은 “이를 문제 삼아 제가 광복회장으로서 자질이 부족하여 퇴진하라는 것은 부당한 처사”라고 항변했다.
아울러, 3.1절 당일 박 회장이 광복회 일부 지부장들과 영등포 노래방에서 음주가무를 즐겼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광복회장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저는 지부장들과 만나지도 않았고 영등포에 가지도 않았다”며 “당시 저는 심한 치통으로 음주할 수도 없는 건강 상태였다”고 반박했다.
또, 박 회장은 “제가 재임기간에 이루어낸 광복회관 재건축 소유권 문제에 있어 광복회와 국가보훈처가 공동명의로 등기한다는 것에 대해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다”며 “4년간의 재임기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고 광복회장 연임에만 몰두했다고 지적하는데, 이는 저를 음해하려는 목적으로 불순한 의도가 다분한 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광복회의 목적사업인 민족정기 선양사업을 포함하여 2011년 재임 이후부터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워크숍을 개최하여 회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기금 조성 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여 장학금 수혜자들에게 종전의 2배로 인상, 도움이 되도록 장학금 전달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건축된 지 38년의 노후 된 광복회관의 재건축 사업(450억원) 유치로 광복회원 복지 향상은 물론, 광복회가 국가 사회적으로 위상이 높아지게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광복회장 연임 문제는 정관에 분명히 명시돼 있고, 차기 광복회장은 오직 선거로서 결정될 것이다. 민주국가에서 개인의 피선거권을 포기하라는 것은 기본권 침해는 물론, 논리에도 맞지 않는 부당한 처사임은 광복회원 모두가 알고 있다”고 불필요한 논란을 차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