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 구매자를 잡기 위한 이동통신사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SK텔레콤까지 보조금을 인상하며 치열한 주말 대전을 예고했다.
18일 SK텔레콤은 ‘LTE 전국민 무한 100’ 기준으로 갤럭시S6 32GB 보조금을 13만원에서 24만8000원으로 상향했다. SK텔레콤의 보조금 인상은 앞서 KT와 LG유플러스가 잇따라 보조금 상한선인 33만원에 가까운 보조금을 책정하면서 어느 정도 예견돼 온 바 있다.
이에 따라 갤럭시S6 시리즈를 구매할 때 SK텔레콤을 선택하는 소비자가의 실 구매 가격은 50만원대로 내려갈 전망이다. 대리점·판매점의 추가 지원금(보조금의 15%)를 포함하면 갤럭시S6 32GB를 최저 57만2800원에 살 수 있게 된다. 보조금 인상 전에는 70만8500원이 최저 선이었다.
또한 SK텔레콤은 갤럭시S6 64GB의 보조금을 12만원에서 20만7000원으로, 갤럭시S6엣지 32GB의 보조금을 12만원에서 17만8000원으로, 엣지 64GB의 보조금을 14만원에서 16만8000원으로 각각 올렸다. 예상대로 세계적인 공급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갤럭시S6 엣지의 보조금 인상 폭이 낮았다.
앞서 KT는 파격적으로 ‘순 완전무한 99’ 요금제 선택시 갤럭시S6 32GB에 대한 보조금을 32만7000원으로 인상한 바 있다. 출시된 지 1주일 남짓에 불과한 삼성전자의 최신형 스마트폰 보조금이 상한액인 33만원에 근접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그만큼 KT가 ‘만년 2등’ 자리를 탈피하기 위해 공격적인 정책을 펼친 셈이다. 이에 단말기 가격은 48만1950원으로 출시 첫 주보다 13만원 이상 내려갔다.
이어 LG유플러스도 ‘LTE Ultimate 무한자유 124’ 요금제 기준으로 보조금을 30만4000원으로 인상하는 강수를 뒀다. LG유플러스는 다른 통신사들에 비해 고가요금제보다 가입자가 몰리는 6만원대 요금제에서 타사보다 높은 보조금을 책정했다.
한편 이번 주는 일요일인 19일에도 휴대전화 개통이 가능한 만큼 SK텔레콤마저 보조금 인상에 가세하면서 이통 3사가 ‘진검 승부’를 벌일 전망이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