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담배반출량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4.2% 감소하는 등 담뱃값 인상과 금연정책 추진이 상당한 금연효과를 보이고 있다.
4월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담배반출량은 5억1900만갑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4.2% 줄었으며, 최근 5년 평균 담배반출량 대비해서는 48.7% 감소해 담뱃값 인상에 따른 효과로 추정되고 있다.
담배반출량은 인상 초기였던 1월과 2월에 비해 3월에는 소폭 증가하기도 했으나 40%이상 감소 추세를 유지하는 중이다.
한편 담뱃값이 인상됨에 따라 흡연자들의 금연 결심도 지속됐다.
3월 말 현재 금연 프로그램 참여자 수는 32만3188명으로 전년 대비 2.9배 증가했으며,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는 전년대비 2.7배 증가한 28만명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고, 병·의원 금연치료 서비스에도 4만9000명이 참여했다.
이에 복지부 관계자는 “금연정책의 효과는 담배의 중독성 등을 고려할 때 보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면서 “금연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경고그림 부착 의무화 , 실내 금연 구역 확대 등 강력한 비가격 정책의 조속한 이행과 함께 맞춤형 금연서비스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기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또한 “혼자서 금연하는 것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금연성공률이 높아진다”고 전하면서 “금연을 결심하신 흡연자들은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 다양한 금연서비스를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연 치료 서비스가 가능한 병·의원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공단 콜센터(1577-10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보건소나 병·의원 방문이 어렵거나 신분노출을 꺼리는 경우에는 금연상담전화(1544-9030)나 온라인 금연서비스(금연길라잡이)를 통해 금연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시사포커스 / 최민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