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금지약물 네비도(Nebido)를 박태환에 주사 투여한 혐의(업무상 과실치상 및 의료법 위반)로 재판에 서게 된 김모 병원장이 다른 주장을 내놓았다.
김 원장은 21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형사 8단독 심리로 열린 첫 공판을 통해 “선수에게 네비도를 처방한 것은 두 차례이고 처방 전 미리 성분 리스트를 건넸다”고 밝혔다.
김 원장 측 변호인에 따르면 “2013년 10월31일 박태환이 처음 병원을 방문했고 12월에 첫 번째 네비도 주사를 놔줬다. 2014년 7월29일 두 번째 주사를 놨는데 이것이 도핑 테스트에서 문제가 된 것”이라고 전했다.
박태환은 지난달 27일 국제수영연맹(FINA)으로부터 18개월 선수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후 기자회견을 통해 “2013년 12월에는 주사를 맞은 적이 없다. 네비도를 맞은 것은 2014년 7월 한 차례 뿐”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김 원장은 박태환에게 네비도 성분을 미리 알렸다고 주장했고, 이는 박태환의 해명과는 전혀 다른 주장이다.
김 원장 측은 “(네비도가)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시술과 다르기에 내원자들에게 자세한 설명을 하고 동의를 받으면 검사 후 관리 시술을 한다. 박태환도 이런 절차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태환이 매니저와 함께 처음 방문했을 때 ‘도핑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의사가 설명하는 것보다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선수 측에서 약물의 성분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정확할 것’이라고 말하며 리스트를 건넸다. 리스트에는 수기로 테스토스테론과 성장호르몬이라고 기재했다. 두 번째로 방문했을 때도 박태환 측에서 같은 이야기를 해 리스트를 제공했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 측 주장대로라면 박태환 측의 주장과는 상반되는 내용으로 치열한 진실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진료기록이 기재되지 않은 것에 대해 변호인은 “무엇을 숨기려는 의도는 아니었다. 일일보고로 사용하는 SNS에는 기록이 남아 있다. 간호사가 제때 기재하지 못한 것은 실수”라고 인정했다.
또 김 원장 측은 “7월에 (두 번째) 투약할 때는 박태환측에서 어떤 언급도 없었다”면서 “박태환은 네비도 주사를 맞을 때 말고도 20여회 병원을 방문해 비타민 등의 주사제를 맞았다”고 말했다.
한편 다음 공판은 6월 4일 오후 3시에 열리며, 김 원장 측은 당시 근무하던 간호사를, 검찰 측은 박태환과 전 매니저 및 트레이너 등 4명을 증인으로 신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