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 강조하던 정용진, 노조탄압 인사도 보듬나
‘공존’ 강조하던 정용진, 노조탄압 인사도 보듬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병렬·윤병규 노조탄압 혐의로 집행유예 2년 선고받아
▲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노조탄압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을 중용해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올해는 공존의 시대’라고 강조했던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이 노조탄압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에 힘을 실어주는 인사 결정을 해 ‘이중적 태도’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노조탄압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던 최병렬 전 이마트 대표이사와 윤명규 전 인사상무를 각각 이마트 상근 고문과 신세계 계열사인 위드미 FS대표이사로 임용시켰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21일 이마트 노조는 “이마트가 여전히 취업항목에 ‘소지품 검사 항목’을 포함시키고 있어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접수할 것”이라고 선포하면서 “노조탄압 등 부당노동행위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최병렬 전 이마트 대표이사가 (이마트)상근 고문으로 근무하고 있고, 윤명규 전 인사상무가 신세계 계열사 위드미FS의 대표이사로 승진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노조가 지적한 최병렬 상근 고문과 윤명규 대표는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부터 조직적 노동조합 탄압 혐의로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바 있는 인물들로, 아직 집행 유예기간이 끝나지 않았다.

앞서 이마트의 ‘노조탄압 사태’는  민주당 장하나 의원이 2013년 부당노동 혐의로 정용진 부회장 등 경영진 일부를 고발하면서 불거졌다. 당시 서울고용청은 이마트 본사와 지점을 총 6번 압수수색하고 참고인 112명과 피의자 23명을 소환 조사하는 등 집중 조사를 실시했다.

서울고용청 조사결과, 최 상근 등 임직원 14명은 직원들을 노동운동성향으로 일차 분류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문제, 관심, 여론주도, 가족 사원 등이 분류 항목이었다. 직원들을 각 항목으로 분류한 후에는 미행 또는 감시도 서슴지 않고 이뤄졌다. 특히 ‘문제’와 ‘관심’ 항목으로 분류된 직원의 경우 다시 ‘노조 감염정도’를 기준으로 A, B, C, D, S 등 등급별로 재분류돼 감시 대상이 됐다.

당시 서울고용노동청 권혁태 청장은 “통신기록과 지휘라인을 살펴본 결과, 최 전대표(현 최 상근)가 이를 총괄한 것으로 보인다”고 조사경위를 밝혔다.

이에 검찰은 이마트 기업문화팀이 2011년 3월 작성한 ‘복수노조 대응전략’ 문건을 증거로 채택하며 최 상무와 윤 대표에 실형을 구형했다. 해당 문건에 따르면 이마트는 노조 관련 상황이 발생했을 때의 대응책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있었다.

특히 ‘행동지침’항목에서는 ‘노조 조직 움직임이 감지되면 10분 내 본사에 보고할 것’ 이라고 기재돼 있기도 했다. 또 고의적으로 문제를 일으켜 노조 관계자의 징계를 유도하는 ‘자폭조’ 운영에 관한사항을 외부 컨설팅 업체에 자문받은 정황도 확인됐다.

한편,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은 올해 신년인사를 통해 “기존 사업과 신규 사업 간 균형을 이룬 성장과 함께 중소기업, 지역사회와의 공존도 추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노조탄압 혐의로 집행유예기간이 채 끝나지도 않은 최 고문과 윤 대표를 좌천시키기는커녕 중용한 것은 그가 강조한 ‘공존’과는 상반되는 행보로 보인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