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1999년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제도가 도입된 이래 올해 1.4분기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위원회는 3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20%로 지난해말 1.22%대비 0.02%포인트 하락했다고 30일 밝혔다.
부실채권 비율은 고정이하여신을 총여신으로 나눈 것으로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미국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 무수익여신비율보다 낮은 것이다.
금감위는 부실채권 비율이 낮아진 것은 부실채권 신규발행률이 지난해말 0.45%에서 올해 3월말 0.37%로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1.4분기에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2조9천억원으로 직전 분기에 비해 2조2천억원 줄었다.
이에 대해 금감위는 매년 2.4분기와 4.4분기에는 공시실적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을 적극 정리하는 만큼 2.4분기에는 부실채권 정리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과 신용카드채권의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해말에 비해 각각 0.04%포인트, 0.07%포인트 낮아졌지만, 가계여신의 부실채권비율은 0.01%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 등 11개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개선됐지만 조흥은행 등 8개 은행은 지난해말보다 부실채권비율이 약간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