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피해확산 막아 손실 최소화 방침

22일 경기도는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대규모 모의훈련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업체를 찾아가 주요 사항을 점검하고 설명하는 이른바 ‘찾아가는 환경안전컨설팅’으로 전환했다고 발표했다.
더불어 도는 대부분의 화학사고가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 도 환경국과 재난안전본부, 일선 소방관서, 시⋅군공무원, 한국환경공단 직원 등으로 진단 팀을 구성했다. 진단팀은 사고예방·사고대응·사고전파 등 3개 분야로 나누어 방제계획 수립여부와 초동대응의 적절성, 그리고 인근주민에 대한 전파방법 등을 점검에 나선다.
특히 대규모 훈련을 지양하고 찾아가는 컨설팅으로 전환하면서, 올해 화학사고 대응훈련을 하게 되는 기업은 지난해 3개소에서 올해 20개 이상으로 늘어났다. 이로써 기업의 실질적인 사고 대응력을 키울 수 있게 됐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류광열 도 환경국장은 “발생초기 단계에 인명구조와 응급복구 등 초동조치를 침착하게 수행한다면 피해확산을 막아 사회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며 “참여사업장을 계속 확대해 기업들의 화학사고 대처능력을 키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일균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