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부길 “이상득-노건평, 전직 대통령 수사 않기로 밀약”
추부길 “이상득-노건평, 전직 대통령 수사 않기로 밀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 촛불시위로 위기 상태일 때 정국 돌파하기위해 약속 어겨”
▲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추부길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인 노건평씨가 라인을 구축해 전직 대통령을 수사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밀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청와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추부길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과 고 노무현 대통령의 형인 노건평씨가 두 사람 간의 핫라인을 구축해, 전직 대통령을 수사하거나 구속시키지 않는다는 내용의 밀약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추측설이 나돌던 이른바 ‘형님 라인’이 실제로도 존재했음이 확인되는 대목으로 파문이 예고되고 있다.

28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당시 MB 캠프 정책기획팀장이었던 추부길 전 비서관은 27일 <중앙>과의 통화에서 “노건평씨와 이상득 전 의원, 두 사람 간 핫라인이 만들어진 건 대통령선거 전인 2007년 10월이었다”며 “11월에는 채널이 본격화되면서 두 ‘형님들’이 여러 차례 직접 만났다”고 밝혔다.

매번 회동때 배석했는지에 대해서는 “중요한 대목에선 자리를 피해 줬다. 두 사람이 풀어야 서로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답했다.

‘중요한 대목’이 무엇인지에 대해선 “핵심은 BBK 사건과 노 대통령 주변 수사에 대한 상호 간의 조율이었다. 두 사람의 밀약도 체결됐다”면서 “내용은 ‘BBK 수사에 대해 청와대에서 인위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정부 교체 뒤) 전직 대통령을 수사선상에 세우거나 구속시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시 밀약이 노 대통령과 이 후보의 의중이 반영된 거냐는 질문에 대해선 “MB가 ‘밀약에 따르겠다’고 확약하고 협상 전권을 (형인 이상득 전 의원에게) 줬다. (노건평씨를 통해) 청와대 상황도 생중계됐다”면서 “당시 ‘BBK 수사에 관여하지 말라’는 노 전 대통령의 지시에 대해 청와대 참모들이 강력 반발했다. 이에 대해 노 전 대통령이 오히려 소리를 지르고 화를 냈다더라”고 말했다.

이어 “정권이 바뀐 뒤에도 노 전 대통령이 (노사모 회원들을 만나 BBK 등에 대해 진상을 밝힐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 당시) MB가 발언 내용을 조율해 달라고 요청해 노 측에 이를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추 전 비서관은 당시 비선라인의 내용을 아는 사람은 누구냐는 질문에 대해선 “여권 내에서 4~5명에 불과하다. MB와 이상득 전 의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정도다. 정부 초기 핵심인 정두언 의원도 대강의 내용을 알고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밀약이 깨진 시기에 대해선 “MB가 촛불시위로 위기 상태일 때 정국을 돌파하기 위해 약속을 어겼다”고 했다.

그는 “당시 나는 MB에게 ‘약속을 지키라’고 했다. 그랬더니 (내가 대선 당시) 전국 조직을 운영할 때 받은 돈을 문제 삼더라”면서도 “검찰도 ‘노무현을 구속시키는 데 희생양이 필요하니 어쩔 수 없다’고 내게 얘기하더라”고 말했다.

또한 논란이 되고 있는 특별사면에 대해서도 “형님 라인의 메인은 ‘핵심 수사’에 대한 의견 조율이었지 사면은 곁가지에 불과했다”며 “대의(大義)를 위해 양윤재 전 서울시 부시장에 대한 사면을 노건평씨에게 부탁해 성사시켰지만, 정작 나는 사면 이후 양 전 부시장의 얼굴도 본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사면은 형님 라인을 통한 요청 대상이 아니었다. 다만 어떤 라인을 통해 성 전 회장의 사면 요구가 들어왔다고 해도 당시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대표가 사면 과정을 몰랐다는 건 100% 거짓말”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MB가 권력을 잡은 뒤엔 나같이 싫은 소리를 하는 사람은 잘 안 보려고 하더라. 권력의 실체가 원래 그런 게 아닌가 싶다”며 “주군(MB)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해 그동안 아무 말 않고 지냈는데,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 잠적할 일이 생기더라도 알려야 할 일이라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