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 인격적으로 성숙한 상사를 가장 존경하는 것으로 조사
상사에게 바라는 것 1순위, ‘부하직원을 이해하고 경청하는 태도'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인격적으로 성숙한 상사를 가장 존경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사이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리서치 전문 기관 폴에버(www.pollever.com)와 함께 직장인 1895명을 대상으로 “가장 본받고 싶거나 존경하는 상사의 유형은 무엇입니까?”라는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인격적으로 성숙한 상사’라는 응답이 36.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리더쉽이 있는 상사’ 23.8%, ‘부하직원을 믿어주는 상사’ 13.2%, ‘자기계발을 꾸준히 하는 상사’ 12.1%, ‘업무능력이 뛰어난 상사’ 11.3% 등이 있었다.
현재 사내에 존경하는 상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48.4%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상사가 꼭 갖추었으면 하는 조건으로는 31.7%가 ‘부하직원의 업무와 상황을 이해하고 경청하는 태도’를 꼽았으며 그 외에 ‘부하직원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리더쉽’ 25.1%,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자세’ 16%, ‘비전을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세’ 13.2%, ‘제대로 업무 지시, 감독할 수 있는 업무 능력’ 13.2% 순이었다.
한편, ‘사내에 불만스러운 상사가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3.4%나 되었다.
상사에게 가장 불만스러운 점으로는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업무 지시’가 28.4%로 가장 많았고, ‘자기 기분에 따라 행동하는 것’ 24.5%, ‘부하직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 24.2%, ‘차별하는 태도(성별, 학벌 등으로)’ 12.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람인의 김홍식 사업본부장은 “부하직원들은 상사의 충고 자체를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부하직원의 입장과 상황을 이해하고, 충고를 하되 인격적으로 대해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상사는 작은 관심과 이해가 자신에게는 존경으로, 회사에게는 더 큰 충성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