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오는 30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재)코리아문화수도조직위원회(조직위원회)와 함께 ‘2016년 코리아 문화 수도 선포식’을 열었다고 29일 밝혔다.
한국에서 올 해 처음 시작하는 이 사업은 매년 문화수도를 옮겨 지정하고 선정된 도시에 전국의 공연·축제·심포지엄 등 문화 예술 자원을 집중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해 2월 재단법인으로 발족한 시 조직위원회는 지역 간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문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사업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참여 의향서를 내는 등 올 3월부터 코리아 문화 수도 유치를 추진해왔으며, 조직위원회는 심사를 거쳐 지난 15일 시를 개최 도시로 최종 선정했다. 조직위원회는 오는 7월까지 사업 추진을 위한 별도의 협력위원회를 구성하고 2016년 실질적인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예산은 의향서 제출 당시 사업에 350억 원 정도 들 것으로 추산했지만, 향후 구체적인 계획에 따라 재원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복희(새정치연합·비례) 의원은 “수 백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되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시 예산 부담비율이 나오지 않은 것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시가 추정치의 10%만 부담해도 35억 원인 만큼 조직위원회에 대한 검증과 철저한 계획 수립, 향후 활용방안에 대한 검토가 선행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문정복(새정치연합·가선거구) 의원은 “시가 공단 도시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있는 좋은 사업으로 보인다”며 “시민들도 다양한 문화 행사를 즐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사업 유치가 급박하게 진행되다 보니 예산과 행사 계획이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선포식 후 시민, 지역예술가, 전문가 등과 전담조직을 구성해 사업 내용을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사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면 한국형 문화수도 사업의 선구자적 모델을 제시함과 도시에 지역 정체성 확립, 시민 문화 복지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일부 제기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영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