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2.4%, 전년동기대비 2.3% 각각 상승
전년동월비는 2%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계절조정(S.A.) 전월비는 0.5% 상승
채소류, 과실류 등의 출회증가로 농축수산물이 내렸으나,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류와 의복류, 화장품 등 공업제품이 올라 전월대비 0.2% 상승
<전월대비 주요 등락품목>
- 상승: 당근(33.4), 여자바지(12.8), 금반지(12.4), 오렌지(11.0), 영양크림(10.3), 양배추(10.0), 가전제품수리비(8.8), 돼지고기(7.6), 화장수(6.4), 딸기(5.9), 감자(4.4)
- 하락: 열무(-29.1), 배추(-25.5), 파(-19.8), 토마토(-17.9), 무(-16.3), 참외(-13.4), 오이(-12.0), 모니터(-11.6), LPG(자동차용:-8.7, 취사용:-6.1), 국수(-5.8), 아동복(-5.4)
□ 특수분류지수 동향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4.3% 하락
□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
주요도시의 전월대비 소비자물가는 부산, 광주가 전도시 평균 상승률보다 높았고, 울산은 전도시 평균과 같고, 서울, 대구, 인천, 대전은 낮았음
5월 소비자물가 동향
1. 기본분류지수
□ 2006년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20.5(2000년=100)로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2.4%, 전년동기대비 2.3% 각각 상승
□ 비목별 동향
○ 채소류의 출회증가로 식료품은 하락하였으나, 석유류 가격 인상으로 교통·통신과 광열·수도, 금반지와 의복류가 오른 기타잡비, 피복및신발 부문 등은 전월에 비해 상승
2. 특수분류지수
□ 상품성질별지수
○ 배추, 무, 열무 등 채소류의 출회증가로 농축수산물은 하락하였으나,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류와 금반지 등 공업제품과 교통요금, 학원비 등 서비스 부문이 올라 전월대비 0.2% 상승
□ 생활물가지수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2.9% 상승
<전월대비 생활물가 등락품목>
- 상승(%) : 당근(33.4), 설탕(9.8), 돼지고기(7.6), 시금치(7.6), 가루비누(6.3), 딸기(5.9), 감자(4.4), 등유(2.5), 휘발유(2.2), 시내버스료(일반:1.7, 학생:1.5), 택시료(1.5)
- 하락(%) : 배추(-25.5), 파(-19.8), 토마토(-17.9), 무(-16.3), 참외(-13.4), 오이(-12.0), LPG(취사용:-6.1), 아동복(-5.4), 닭고기(-4.5)
□ 신선식품지수
○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를 대상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4.3%, 전년동월대비 4.1% 각각 하락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0% 각각 상승
□ 구입빈도별지수
○ 월1회이상 구입품목은 전월대비 0.4% 상승, 분기1회이상 구입품목은 1.0% 하락
3.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
○ 16개 광역시도별로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부산, 광주, 충남, 전북 등은 전도시 평균상승률(0.2%)보다 높았고 대전은 전월에 비해 하락
○ 16개 광역시도이외의 전월대비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구미, 전주, 남원 등이 다른 도시에 비해 높게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