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3대 그룹 중 ‘어닝쇼크’ 계열사 최다
삼성, 3대 그룹 중 ‘어닝쇼크’ 계열사 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 계열사 7곳…현대차그룹·LG그룹 각 2곳 ‘실적쇼크’ 기록
▲ 삼성그룹 계열사 7곳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며 ‘실적쇼크’를 기록해 3대 대기업 중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내놨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삼성그룹 계열사 절반에 해당하는 7곳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며 ‘어닝쇼크’를 기록해 3대 대기업 중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내놨다. 삼성그룹 이외 국내 3대 대기업에 속하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올해 1분기 잠정실적도 시장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했지만 어닝쇼크를 기록한 곳은 각각 2곳에 불과했다. 어닝쇼크란 기업이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치는 실적을 발표하는 것을 말한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 삼성그룹 상장 계열사 15곳 가운데 10곳의 실적이 시장 전망치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내놨다. 이 중 7곳은 ‘어닝쇼크’ 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사 7곳은 제일모직(-85.91%), 삼성SDI(-77.09%), 삼성중공업(-74.78%), 삼성물산(-66.83%), 삼성엔지니어링(-18.70%), 에스원(-16.74%), 삼성SDS(-12.07%) 등이다. 제일모직의 경우 1분기 실적을 두고 당초 시장에서는 426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 발표된 잠정 영업이익은 그보다 85.91% 낮은 60억원에 그쳤다. 이외 삼성정밀화학은 적자 폭이 확대됐다.

삼성그룹 계열사 중 시장 전망치 보다 나은 실적을 낸 곳도 있었다. 다만 삼성전자(9.9%), 삼성테크윈(513.2%), 삼성전기(12.5%), 제일기획(2.4%) 등 4곳에 불과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의 경우 계열사 11곳 중 9곳이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현대건설(-12.05%)이 어닝쇼크를 기록했고, 현대로템은 시장의 기대와는 달리 아예 적자로 전환했다. 이외에도 현대제철(-9.07%), 현대차(-4.43%), 현대모비스(-1.39)가 시장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현대글로비스(5.84%), 현대하이스코(4.81%), 기아차(4.25%), 현대위아(0.61%) 등 계열사 4곳은 시장 기대치 보다 좋은 실적을 내놨다.

LG그룹에서는 잠정 실적을 발표한 계열사 9곳 중 LG하우시스(-20.34%)와 LG상사(-34.07%) 두 곳이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LG유플러스(-4.12%)와 LG이노텍(-2.76%)도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LG생명과학의 경우 적자폭이 늘었다.

반면 LG디스플레이(34.16%), LG화학(11.52%), LG생활건강(11.01%) 등 세 곳은 시장 기대치 보다 높은 성적을 내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특히 LG디스플레이의 경우 시장이 기대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5544억원이었으나 이보다 34.16% 높은 7439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LG전자의 경우는 1분기 영업이익으로 3052억원을 기록해 시장이 애초 기대했던 예상치 3036억원과 크게 다르지 않은 실적을 내놨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