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구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대학생 연합 동아리 생존경쟁 팀 측은 서울•경지 지역 남녀 대학생 각 350명을 대상으로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일본어 잔재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405명(57.9%)으로 ‘구라’(거짓말)가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애매하다(모호하다•386명), 기스(상처•283명), 간지(멋•211명), 닭도리탕(닭볶음탕•192명), 다데기(다진양념•179명), 뽀록(들통•162명), 분빠이(분배)•노가다(노동•15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치케스(스테이플러•145명), 땡땡이무늬(물방울무늬•142명), 땡깡(투정•117명), 오케바리(좋다•104명), 망년회(송년회•93명), 쇼부(승부•88명), 고참(선임•83명) 등도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두 연구팀은 일본어 잔재 청산을 위한 동영상 제작 및 배포 및 전국 각 도시 공연 등을 통해 언어문화 개선 캠페인을 시작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