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보조금’보다 ‘요금할인’ 선호
휴대폰 ‘보조금’보다 ‘요금할인’ 선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금할인 가입자 50만명 돌파, 할인율 20%로 확대한 후 급증

 

▲ 휴대폰 개통 시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있다 ⓒ뉴시스

휴대폰 보조금(지원금)보다는 요금 할인을 선택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1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요금할인제도를 선택한 가입자가 이달 13일 현재 50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요금할인율을 20%로 확대한 후 보조금 대신 요금할인을 택하는 가입자들이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 4월24일 요금할인율을 기존 12%에서 20%로 올린 지 20일 만에 33만명(하루 평균 1만6000명)이 보조금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했다. 이는 기존 12% 요금할인 가입자가 지난해 10월 1일 단말기 유통법이 시작된 후 지난달 23일까지 총 17만 6000명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약 19배 늘어난 수치다.

미래부는 보조금을 받지 않고 휴대폰을 개통하는 이용자에 한해 1년 약정을 조건으로 보조금 대신 추가 요금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오픈마켓에서 단말기를 구입했거나 단통법 시행 전 개통한 단말기(개통 후 24개월이 지난 경우)를 보유한 이용자 등도 해당된다. 2년 약정기간이 끝난 후에도 사용 중인 휴대폰을 계속 쓰는 이용자도 여기에 포함된다.

미래부에 따르면 13일 기준으로 기존 12% 요금할인을 받던 이용자 중 3만9403명이 요금할인율을 전환했다. 전환 신청은 전국 이통사 대리점과 판매점 뿐 아니라 전화나 이통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전환신청 기간은 6월30일까지다.

조규조 미래부 통신정책국장은 “소비자들이 지원금(보조금)과 요금할인 중 자신에게 유리한 선택을 할 수 있게됐다”며 “20% 요금할인 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단말기 시장 경쟁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