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연금개혁과 관련해 책임을 지고 조윤선 청와대 정무수석이 사퇴한 가운데, 19일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많은 변화가 필요로 한다. 그런 변화에 걸맞은 새로운 정무수석이 또 한편으로는 필요”라고 밝혔다.
김성태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조윤선 수석이 여러 가지 이제 정치지형의 변화와 함께 또 본인도 박근혜 정부 출범으로 여성부 장관과 또 정무수석, 대통령 최측근으로서 핵심역할을 할만큼 했다고 본다”고 평가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과거에는 집권당 당대표나 또 당 체제가 보통 관리형 대표체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며 “하지만 지금 시기는 국민으로부터 우리 집권당 새누리당이 무한한 책임감을 지금 국민으로부터 부여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그렇기 때문에 수평적인 당청관계, 그리고 또 당이 일정부분 정부의 일방 통행식 국정운영이라든지 또 책임지지 않는 그런 각료들의 모습, 이런 부분에 대해선 또 우리 당이 할 이야기도 할 소리도 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제 당청관계의 가교역할을 하는 정무수석이 새로운 버전으로 국민들 앞에 또 대통령의 측근인사로서 나설 필요가 있다. 그럴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새로운 정무수석의 자질과 관련해선 “실질적으로 대통령의 의중과 또 신경, 앞으로 이런 부분이 가감 없이 우리 당 지도부와 또 경험을 가지고 특히 당대표와 박근혜 대통령께서 격의 없는 어떤 그런 국정운영의 전반적인 원활한 소통, 협의(능력이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또 국회 원내 지도체제와의 긴밀한 교감, 우리 의원들하고의 다양한 소통을 이런 걸 이끌어갈 수 있는 그런 상당히 좀 역할이 활력이 높은, 특히 여의도정치에 대해서 좀 편안한 소통을 이뤄나갈 수 있는 그런 정무수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무수석의 갑작스러운 사퇴가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조윤선 수석이 꼭 대통령 임기하고 처음 시작부터 끝까지 해야 별 이상이 없는 게 아니고 지금 이미 실질적으로 뭐 거의 2년 6개월 가까이 했지 않았나?”라며 “그렇다면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으로서는 최장수 측근으로 봐야 된다”고 답했다.
한편, 정무특보 무용론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 취임 초기 의욕적으로 꾸며졌던 그런 특보단을 생각할 때 현재 정무특보들은 활동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일방통행식 운영과 또 정무수석과의 업무 분담도 불확실한 정무특보를 정무특보단의 존재감이 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 차원에서 청와대가 판단을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