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19일 “북한을 방문하는 것이 유익한 시점에서, 해당 모든 관련국과의 합의를 통해 북한을 방문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방북 의사를 밝혔다.
전날 한국을 찾은 반 총장은 이날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아시안리더십컨퍼런스’ 개막식 연설에서 “제가 북에 전달하는 메시지는 유엔은 ‘북한의 유엔’이기도 하기 때문”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반 총장은 이어 “우리는 지원의 손을 어느 때라도 (북측에) 전달할 수 있다”며 “신뢰구축과 관련한 중재 활동을 충분히 진행해 나갈 수 있고, 법치주의와 인권을 위해 노력할 수도 있고, 의미 있는 개혁을 이끌어 나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반 총장은 또 “작년 9월 북한 리수용 외무상과 만나 다시 한 번 약속한 바가 있고 대화를 계속해서 유지하겠다고 발표한 바가 있다”며 “올해 (유엔)총회에서 다시 한 번 리 외무상과 만나, 추가적인 대화가 일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 총장은 “저는 한반도 문제에 적극 관심을 갖고 노력할 수밖에 없다”며 “그 이유는 전 세계 어디보다 더 많은 위험이 도사리는 지역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북한의 현재 활동들이 지속되면 앞으로 (역내) 군비경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래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한 더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은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6자회담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되고 있다”며 “당사국 정부 모두에 대화재개를 위한 모든 노력을 진행해 나가달라고 부탁하고 싶다”고 당부했다.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기 위해 제가 사무총장으로서 모든 노력을 진행해 나갈 것”이라며 “양측이 최소한의 전제조건을 갖고 진심의 대화를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반 총장은 북한 문제와 함께 지난 3월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 등을 거론하면서 “그런 합의내용과 마찬가지로 계속 이런 3자회담이 유지되고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며 “일본 지도자들에게도 미래지향적인 접근방식을 채택해달라고 말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세대의 아시인들에게 희망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셔야 할 것”이라며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인식 변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