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우유가격…원유쿼터제 도입 주장
치솟는 우유가격…원유쿼터제 도입 주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낙농업, 유가공업 동반성장 위해 유가공품 원유이용비율 높여야”

유가공품 가격안정을 위해 치즈 및 발효유용 원유(原乳)쿼터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허덕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선임연구위원은 19일 발표한 '한국농촌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구축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공급과잉과 소비저조에도 불구, 국산원유가격은 나날이 치솟았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싼 수입원유 가격을 조절함으로서 가격안정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산원유의 경우 현재 우유생산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우유소비 감소에 따라 분유로 가공돼 재고로 쌓이고 있는 실정이다. 3월 기준 분유재고량은 2만1951톤으로 2월 2만1973톤보다 다소 줄었지만 지난해 최고치인 12월 1만8484톤을 이미 넘어선 상태다.

보고서는 낙농업과 유가공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치즈와 발효유등 유가공품의 원유이용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유쿼터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원유쿼터제란 낙농가로부터 우유제조업체들이 할당량만큼 원유를 일정가격에 의무적으로 사는 제도를 말한다. 즉 가격이 싼 수입원유에 대응해 한국산 원유를 사줌으로서 일정부분 가격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보고서는 유가공식품시장의 과점성격이 확대 될수록 마진율이 증가했다며, 과점에 따른 폐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장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정부측에 촉구했다.

유가공품 시장에서 상위 3대 기업 시장점유율은 발효유의 경우 54%, 조제분유 93%, 아이스크림 66%로 나타났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