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 10명 중 2명이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저임금을 받으면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휘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이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012'를 이용해 재학 중 일을 한 32세 미만 구직자를 대상으로 조사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연구팀은 시간당 최저임금인 4580원 미만의 일자리를 열정페이로 간주했다. 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 대학생 10명 중 6명이 재학 중 일을 했고, 전체 20.7%는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에 따른 열정페이 경험률은 크게 다르지 않았고, 이들의 평균 시급은 3300원대로 최저임금보다 1000원 이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유형별로 따졌을 때는 4년제 대학생이 2년제 대학생보다 재학 중 근로와 열정페이 가능성이 모두 낮은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자연계열 23.3%, 인문계열 22.8%, 공학계열 21.8% 순으로 열정페이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서비스직과 사무영업이 절반 가까이 '열정페이'를 경험했고, 교육관련직이 13%로 가장 낮게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특히 대학 재학 중에 진로설정여부와 가구소득이 대학생들의 근로와 열정페이 가능성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도 드러났다.
연구진은 "등록금 지원 정책으로 국가장학금이 확대돼 학생들에게 손쉬운 선택지가 됐지만, 부담은 고스란히 학생에게 남아있다"면서 "이 때문에 보수가 작은 일도 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국가근로장학금 확대를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오는 2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리는 고용정보원 주최 '고용패널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김승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