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日, 세계유산 등재 때 모든 역사 기록해야”
유네스코 “日, 세계유산 등재 때 모든 역사 기록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 28~7월8일 세계유산위원회서 최종 등재 여부 결정
▲ 유네스코 산하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일본이 일본 정부가 등재를 신청한 산업혁명 유산 23개 시설에 대해 징용사실을 기록하라고 권고했다. ⓒ뉴시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심사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23일 일제 강제징용시설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일본정부에 징용사실을 기록하라고 권고했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는 지난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권고안을 만들어 일본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회는 일본 정부가 등재를 신청한 산업혁명 유산 23개 시설에 대해 “각각의 장소가 일본 산업화의 한 단계 혹은 여러 단계를 반영하도록 해석 전략을 준비해 달라”고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본 정부가 이들 23곳에 대해 일반 대중이 ‘역사의 전모(full history of each site)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해석 전략을 준비해줄 것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를 수석대표로 한 정부 대표단은 지난 2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 측과의 협의에서 이 사실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일본의 관련 산업시설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 자체는 반대하지 않지만 ‘조선인 강제노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어떤 방식으로든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일본은 산업혁명 유산에 대해 등재를 신청하면서 1850년~1910년까지의 기간으로 국한했다. 이 가운데 ‘군함도’나 ‘지옥도’로까지 불리는 하시마 탄광 등 조선인 5만 8천여명이 강제징용된 7곳이 포함돼 있다.

이를 두고 주로 1940년대에 이뤄진 조선인에 대한 강제징용과 착취의 어두운 역사를 덮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한편 협의회의 최종 등재 여부 결정은 다음달 28일부터 7월8일까지 독일 본에서 개최되는 세계유산위원회를 통해 내려지게 된다.

세계유산위원회는 21개 위원국으로 구성되는 정부 간 위원회로서 현 위원국은 한국·일본을 비롯해 알제리·콜롬비아·크로아티아·핀란드·독일·인도·자메이카·카자흐스탄·레바논·말레이시아·페루·필리핀·폴란드·포르투갈·카타르·세네갈·세르비아·터키·베트남이 속해 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