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핵분열 조짐 우려할만한 상황 연발
5.31 지방선거 참패 후 비대위 구성과 정부와의 부동산, 조세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첩첩산중인 열린우리당. 힘을 모아 상황을 타개한다고 하더라도 쉽지 않을 판에 극으로 치닫고 있는 계파 간의 갈등은 당의 핵분열을 예고하고 있다. 당내 일명 ‘난닝구’와 ‘백바지’로 분류되는 실용주의파와 개혁파간의 갈등이 바로 그것이다.
두 계파가 현재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지방선거 패배의 원인과 당 수습 대책에 대한 의견이 상충되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지도부 구성문제에 있어서 김근태 최고위원의 의장직 승계를 놓고 벌어지는 대립은 당의 분열조짐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선거 패배의 책임이 정동영 전 의장 다음으로 김 최고위원에게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 김 최고위원 반감세력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김혁규, 조배숙 최고위원이 사퇴를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참정연 소속의 김두관 최고위원과 당을 함께 운영할 수 없다’는 생각이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지며 실용파와 개혁파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지방선거 참패 이후 김두관 최고위원은 ‘실용파 책임론’을 제기하며 당내 갈등을 수면위로 끌어올린 바 있었다.
실용파는 이번 지방선거 패배의 원인으로 부동산, 세제정책 등이 민심 이반을 불러 왔다고 지적, 시정 또는 개선 여부에 대한 검토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실용파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개혁파는 “우리당에서 서민이 멀어지게 한 사람들의 빗나간 행동”이라고 말하며 반발하기도 했다.
이처럼 당내 두 계파의 갈등 양상이 극한 대립으로까지 치닫자 당의 한 중진급 의원은 “누가 비대위를 맡든 당을 수습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한편, 당의 한 관계자는 “이번 선거를 치르면서 양측 모두 이 상태로는 더 이상 함께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확산된 상황”이라며 “당내 노선 갈등이 향후 민주당과의 통합이나 고 건 전 총리의 신당 창당 등 외부적인 요인과 결합한다면 당의 분열을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