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건설업계 '비상'
메르스 공포…건설업계 '비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쿠웨이트 등 중동에 해외 건설공사 70% 이상이 상주해
▲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가 건설업계도 휩쓸고 있다.ⓒ뉴시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가 건설업계도 휩쓸고 있다.

메르스 발병의 근원지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쿠웨이트 등 중동에 해외 건설공사 70% 이상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 측은 근로자들의 건강문제에 온 신경을 쏟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로 대형 건설사들은 해외 건설현장에 메르스 예방수칙과 대응지침을 내리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중동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단위로 체온을 측정하고 이상 증후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날 오후 중동 건설 현장과 지사를 비롯해 모든 임직원에 대해 메르스 예방수칙과 대응지침을 전달했다. 의심환자 발생시에는 즉시 회사에 보고하도록 했다. 중동출장 복귀 후에는 5일 이내에 체온측정과 문진 등 검사를 받도록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대건설 관계자는 29일 “아직 해외 현장 근로자 가운데 메르스에 감염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출장 금지 등의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지만 확산 추이 등을 지켜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대림산업은 중동지역 현장과 사내 인트라넷에 마스크 착용 등의 지침과 대응방법 등을 거듭 공지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GS건설은 중동 현지 근로자의 건강관리 차원에서 사내 온라인망을 통해 메르스 증후군의 개요와 감염예방 수칙을 공유했다.

해외건설협회도 메르스 피해 예방에 팔을 걷어붙였다.

해외건설협회는 6월8일 중동으로 나갈 계획이 있는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메르스 예방 교육을 진행한다. 애초 ‘중동 지역 전망’ 세미나가 열릴 계획이었으나 질병관리본부와 외교부의 요청으로 메르스에 대한 교육 시간이 포함됐다.

또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가입자 2만8000명에게 메르스 관련 메일을 송부하고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치사율이 40%에 이르는 메르스는 현재까지 명확한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모든 환자들이 직간접적으로 중동지역(특히 사우디아라비아)과 연관돼 있다. 이들은 중동지역에서 체류했거나 낙타시장 또는 농장 방문, 낙타 체험프로그램 참여 등 낙타와의 접촉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