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긴급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확진을 받은 한 의사가 시민 1,400명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했다고 밝혀 서울시민이 충격에 휩싸였다.
박원순 시장은 4일 오후 긴급 브리핑을 갖고 “지난 1일 35번째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지역 한 병원 의사가 자택 격리를 무시한 채 지역 재건축조합 총회와 심포지엄 등 대형 행사장에 수 차례 드나들며 불특정 다수와 접촉했다”고 밝혔다.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은 “35번 환자는 14번 환자와 접촉한 의사로서 5월 29일부터 경미한 증상이 시작되었고 5월 30일 증상이 심화되기 시작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35번 환자는 5월 30일 1565명이 참석한 개포동 재건축 조합행사에 참석했고 이에 동 행사에 참여한 대규모 인원이 메르스 감염 위험에 노출되게 됐다”고 했다.
또 박원순 서울시장은 “35번 환자는 이틀 동안 여러 곳에서 동선이 확인됐고 그것은 그만큼 전파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35번 환자는 5월 30일이 되어서야 시설격리 조치되었고 6월 1일 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았다”고 했다.
이어 “메르스 관련 서울시 담당공무원이 6월 3일 늦은 오후에 개최된 보건복지부 주관 대책회의 참석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인지하게 된 사실”이라며 “서울시는 1565명의 아마도 실제로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바로 메르스 위험에 노출된 시민들이라고 생각하고 이들에게 해당사실을 알리고 추가적인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서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 등에 사실 공표 및 대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오늘 하루 요청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월 4일 오전부터 보건복지부 담당 국장에게 유선으로 연락을 취했으나 연결이 어려워서 소관과장 및 사무관 등에게 위험사실 공개 및 조속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35번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갖고 있지 않았고 이후 동선은 물론 1565명의 재건축 조합 행사 참석자들 명단도 확보하고 있지 않은 채 오히려 보건복지부에서는 1565명의 재건축조합 행사 참석자들에게 수동감시를 하겠다는 의견을 서울시에 보내왔다”고 했다.
이에 박원순 서울시장은 “수동감시 수준의 미온적인 조치로는 시민 안전을 지킬 수 없다고 판단했으며 참석자 명단을 해당 조합원으로부터 입수한 뒤 이제 서울시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인식에 이르렀다”며 “자체적으로 해당 사실을 시민 본인에게 개별통보하고 확산 방지를 위해서 스스로 자택에 머물러 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박원순 서울시장 “본인도 인지 못 한 상황에서 메르스 위험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일반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 35번 환자의 5월 30일 이후의 이동 동선을 지도화하여서 가장 빠른 시간 안에 공개할 생각”이며 “서울시는 이 모든 과정에서 정보를 실시간 대로 공유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