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 대형종합병원의 의사가 확진 직전 2500여명과 접촉했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긴급 브리핑과 관련, 청와대는 5일 “불안감과 혼란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정확한 사실들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은 “박 시장의 발표 내용과 보건복지부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 그리고 35번 환자의 언론 인터뷰를 보면 상이한 점이 상당히 많이 발견된다”면서 “서울시와 복지부가 이런 심각한 사태에 대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해 보다 정확한 내용이 국민들에게 알려져 불안감이나 오해가 없도록 신중을 기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박 시장의 발표에 거듭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정부가 정보요청에 미온적이었다는 박 시장의 주장에 “복지부 설명에 따르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재건축조합 모임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어느 정도의 범위를 관리할 것인지에 대해 복지부는 재건축조합에 그날 모임에 참석했던 사람들의 명단을 2일 요청했지만 그걸 받지 못했다”며 “3일 서울시와 복지부가 이 부분에 관해 논의해 명단에 대해 서로 필요한 조치를 하기로 했다고 저희는 파악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김 수석은 현재 대응 방안과 관련해 “첫째는 현재까지 확진환자의 (감염)원인은 의료기관 내 감염으로 지역사회 감염이 아니다”라며 “현재까지 확진환자 접촉자들을 촘촘히 (추적)하는 게 가장 중요한 대책이라는 인식”이라고 말했다.
이어 “둘째는 추가적 확산 방지를 위해 확진환자 관련 정보를 의료기관 간 공유하는 조치를 지난 3일 이후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셋째는 가장 많은 확진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에서 초기 감염확산의 고리를 끊지 못한 게 초기대응 단계에서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며 “여타 의료진과 공유해서 유사사례가 없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수석은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들께 정확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고 이것은 대통령도 강조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