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삼성과 현대차 테마주 수익률이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운용순자산이 100억원 이상 주식형 펀드를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지난 4일 기준 일주일간(5월29일~6월4일) 삼성그룹주 펀드와 현대차그룹주 펀드의 수익률은 각각 –2.69%, –4.04%다.
공통적으로 두 펀드 포트폴리오에는 삼성전자 및 현대차 계열사가 비중 상위 10위권에 포진해 있다는 점이다. 두 그룹주 펀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가는 그간 하락세를 이어오다 이 기간 130만7000원에서 133만7000원으로 2.3% 소폭 올랐다.
그러나 엔저 현상과 최근 메르스 사태로 인한 국내외 판매 부진이 이어지자 현대차, 기아차 포함 현대차그룹의 핵심 계열사 주가는 폭락했다. 이 기간 내 판매부진의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되는 현대차의 경우 12%, 기아차는 6.7%씩 떨어졌다. 그룹의 핵심 계열사 현대모비스의 주가는 8.9%나 떨어졌다.
두 펀드의 마이너스 수익률은 삼성전자의 증가폭 보다 현대차 계열사들의 하락폭이 훨씬 컸던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그룹주 펀드의 손실폭이 현대차에 비해 작았던 이유는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의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반대 소식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풀이된다.
엘리엇은 두 회사 합병 반대를 위한 경영권 참여 목적으로 지난 2일과 3일 이틀에 걸쳐 삼성물산 지분 7.12%(1112만5927주)를 매입했고, 이같은 엘리엇의 행보는 삼성물산 주가를 끌어올렸다. 삼성그룹주 포트폴리오 중 현대차, 기아차 등 현대차그룹주가 부진한 성적을 냈지만, 이보다 비중이 높은 삼성물산 주가의 큰 폭 상승이 손실을 만회 시킨 것으로 보인다.[시시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