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전 개인정보 불법매매 피해 구제해야”…구체적인 방안 제시 촉구

한국YMCA전국연맹 등 10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8일 최근 불거진 홈플러스의 매각과 관련, “매각 절차를 시작하기에 앞서 개인정보 불법매매사건에 대한 피해 소비자 구제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비자단체협은 이날 "홈플러스가 개인정보 불법매매 피해 소비자는 방치한 채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들려온 매각 소식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며, “개인정보 불법사건에 대한 민사재판을 앞둔 시점에서 소비자 구제는 나 몰라라 하고, 매각을 통해 책임을 회피하려는데 급급한 모습은 심히 개탄스럽다”고 입장을 밝혔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홈플러스를 인수하려는 업체에 대해서도 강력 경고한다”며 “개인정보 불법매매 사건의 피해 소비자 구제책 마련에 적극 동참하고, 개인정보 장사로 이윤을 추구한다는 홈플러스의 불명예를 먼저 씻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테스코는 오는 7월부터 매각 절차를 시작해 오는 12월까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 내년 2월까지 잔금을 완납받는다는 계획이다. 매각대금은 최대 10조원으로 추산된다.
소비자단체협은 경품행사 등으로 모은 개인정보 2천400만여건을 231억7천만원을 받고 보험사에 넘긴 혐의를 들어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에서 도성환 사장 등 임직원을 기소하는 등 문제를 제기해왔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