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와 대화 나선 새누리, ‘교류협력 강화’ 공감대
시민사회와 대화 나선 새누리, ‘교류협력 강화’ 공감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누리 공천문제 및 교육감선거제도, 복지제도 등 각계 목소리 분출

▲ 시민사회 단체들이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범시민사회단체연합(이갑산 상임대표) 초청 ‘시민사회단체와 새누리당 대표와의 대화’에서 현재 정당정치의 문제점에 대해 성토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보수성향의 시민사회단체들이 새누리당과 대화의 자리를 갖고, 그동안 시민사회와 새누리당 간 교류협력이 단절돼 있었던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  

9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범시민사회단체연합(이갑산 상임대표) 초청 ‘시민사회단체와 새누리당 대표와의 대화’에서는 분야별 시민사회 단체장들과 새누리당 김무성 당대표를 포함한 9명의 의원들 간 대화의 장이 열렸다.

이갑산 범시민사회단체연합 상임대표는 최근 드러나고 있는 정당정치의 부패한 모습과 정책의 혼선을 두고 심장박동이 정지됐을 때 쓰이는 의학용어 ‘코드블루’라고 규정하며 이같은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시민사회 인사들은 ▲공천시스템 문제 ▲교육감 선거 제도 ▲환경단체 지원 ▲협동조합 및 사회적 경제 정책 ▲과감한 복지제도 수정 ▲통일 정책 등의 주제로 발표했다.

박강수 자연보호중앙회 회장은 새누리당의 인재영입 문제와 관련해 “새누리당이 보다 투명하고 폭을 넓힌 공천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재영입위원회를 통해 우리 사회의 건전한 보수 시민사회운동가 등 신진인사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당협위원장을 교체하고 각종 선거 공천만 끝나고 나면 사분 오열되는 역현상이 나타난다”며 “말만 100% 투명한 국민공천이 아닌, 진짜 투명한 공천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보수정치권과 교류는 사실상 단절 상태이며, 그러다보니 시민사회의 정치권 진출은 대부분 야권을 통해서만 이뤄지고 있다”면서 “새누리당이 보다 적극적으로 건전 보수성향의 시민사회세력과 교류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박강수 자연보호중앙회 회장은 새누리당 공천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투명한 공천 시스템의 구축과 시민사회세력과  보다 적극적인 교류 필요성을 제기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이재교 시대정신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예선에서 당원도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를 근거로 공천한다는 것은 포퓰리즘에 불과하다”이라고 비판하면서 “당이 인재영입위원회에 힘을 실어주고 훌륭한 인재를 많이 영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정수 자유교육연합 상임대표는 복지제도와 관련해 “무상급식, 무상보육, 무상의료, 반값등록금 등으로 인한 복지 포퓰리즘으로 재정 위기에 직면했다”며 “과감히 지속가능한 복지정책으로 수정하는 것이 국가의 장래와 국민을 위하는 길”이라며 현재의 복지정책을 과감히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강영길 부산산업학교 교장은 교육감 선거제도에 대해 “제한적 직선제나 대통령 임명제가 타 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람직하겠으나 주민직선제가 유지된다면 러닝메이트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밖에도 이헌 시민과함께하는변호사들 공동대표의 ‘최근 현안 사건들에 대한 대응’, 김연화 한국소비자생활 연구원 원장의 ‘소비자의 눈으로 본 한국정치의 문제점과 대책’, 이명희 한국현대사학회 회장 ‘국가중심셁 형성과 당의 재구축 그리고 역사인식’, 이연주 한국청년유권자연맹 대표운영위원장 ‘중도층과 청년세대의 마음을 얻는 정당’,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통일로 나아가는 탈북자 정책과 현황’, 임헌조 한국협동조합연대 이사 ‘협동조합 및 사회적 경제정책과 발전 방안’, 서인택 통일을실천하는사람들 상임공동대표의 ‘통일, 시민주도 통일운동의 활성화가 길이다’ 등의 주제를 발표했다.

한편 이 자리에 참석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앞으로 귀를 더 크게 열어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듣고 보수 혁신의 지평을 더 넓히겠다”며 “좋은 의견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당의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