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병원명 공개를 지연한 것과 관련해 여권에서 병원 측의 입장 때문에 늦어졌다는 취지의 발언이 나왔다.
국회 메르스비상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당국에서 공개되지 않았으면 하는 병원 측의 입장, 물론 국민들의 불안감도 큰 고려 대상이 되었겠지만, 그것에 대한 기본 매뉴얼이나, 대처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평소에 가지고 있지 못했던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걱정과 불안을 확산시킨다는 고려도 있겠지만, 그런 면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메르스 확산과 관련해 “우리나라 방역체계가 초기에 위기대응능력이 상당히 시작이 늦다. 뜸을 많이 들인다”면서 “이번주가 고비이고 괜찮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우리가 대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이번주가 고비가 될 수도 있고, 더 확산되는 위험성도 배제할 수는 없겠다”고 진단했다.
신 의원은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 ▲병원 내 감염 ▲병원 간의 환자 이동에 따른 감염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았다. 그는 “병원 내 감염 부분에 있어서는, 병원의 입원환자나 외래환자에 대한 감염사례가 발견된 병원에서는 전수조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병원 간 감염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행동지침에 대해서 정부에서 확실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컨트롤 타워’ 부재 논란과 관련해서는 “총리급에서도 얼마든지 컨트롤 타워를 할 수 있다”면서 “우리가 지금 총리가 부재상태 아닌가? 그래서 최경환 부총리가 컨트롤 타워를 구조적으로 범정부 협의체를 해서 맡아나간다면, 굉장히 늦었지만,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통령은 당연히 컨트롤 타워다. 이 상황에 대처하는 가장 큰 책임을 지고 있다”며 “그런데 실제적으로 부처 간의 협력을 끌어내고, 진행시켜나가는 데에는 총리로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방역 문제에 대해서 국민안전처는 지원하고 협조하는 차원이고,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한 범정부 협의체적인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며 “그런 부분이 왜 평소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대처를 못 했는지, 이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반성을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