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으로 국제전화 중계한 사기단 '검거'
불법으로 국제전화 중계한 사기단 '검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허가 특수 장비 이용해 부당 이득 챙겨
▲ 무허가 통신장비와 대포폰으로 불법 국제전화 중계를 벌인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YTN 뉴스 캡처

무허가 불법 통신장비와 대포폰을 이용해 국제전화 중계 사기를 벌인 일당 5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11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컴퓨터 등 이용 사기 및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혐의로 인터넷 국제전화 중계서비스 업자 엄모(56)씨를 구속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찰은 최모(63)씨 등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 일당은 법인명의 대포폰 유심칩을 이용해 국제전화를 불법으로 중계하고, 해외 통신업체로부터 중계수수료만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엄 씨 등은 지난 2013년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제전화를 중계하며, 회선 사용료와 중계료로 10억 원 가량의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엄 씨 등 일당이 국제전화를 중계한 방식은 상당히 독특했다.

이들 일당은 미국·홍콩 등 해외 통신사업자 8곳으로부터 계약을 체결한 뒤, 특수 통신 장비와 대포폰을 이용해 국제전화 신호를 수신했다.

이 장비는 중국에서 들여온 유심칩 617개를 유심박스 18개에 장착한 것으로, 당연히 불법이다.

엄 씨 등 일당은 이 특수 통신 장비를 48개나 도입해 국제전화 중계에 이용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활용된 대포폰은 한국에서 개통된 것이기 때문에, 국제전화를 걸어도 결국 국내 발신으로 변환된다.

엄 씨 등 일당은 이런 불법적인 방식으로 국제전화를 중계했다.

그런데 이 과정을 통해 발생한 국제·국내 전화 요금 9억여 원은 범행에 이용된 통신사 및 유심 가입자가 떠안게 됐다.

경찰 조사 결과 유심 가입자는 대부분 유령법인 명의이며, 개인 피해자는 비교적 적은 편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통신사가 입은 피해는 상당하다. 특히 KT가 피해를 당한 금액은 약 5억2,000만 원으로 추정된다. 나머지 통신사가 입은 피해 금액은 현재 집계 중이다.

경찰은 지난 해 4월 통신 관련 수사를 벌이던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대포 전화를 통해 국제전화가 대규모로 수신되고 있다’는 첩보를 받은 뒤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통화 내역을 정밀 분석한 다음, 서버가 설치된 사무실을 급습해 이들 사기단을 검거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경찰은 엄 씨 등 일당이 해외에 계좌를 개설했는지 추가로 수색하기 위해 인터폴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