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12일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은 별관에서 열린 창립 제65주년 행사 기념사에서 “국내 경제의 회복세 지속을 낙관하기 어려운 만큼 통화정책은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운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 연준(Fed)의 금리인상과 관련해선 “앞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등으로 정책 여건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면서도 “경기회복세가 미흡할 경우 통화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앞서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은 지난달 22일 “올해 안 어느 시점에는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 목표치를 높이기 위한 초기 조치에 나서고 통화정책의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올해 안에 금리를 인상할 뜻임을 분명히 했다.
이는 미국이 연내 금리인상을 단행해도 통화정책은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것, 즉 미국의 뒤를 따라 섣불리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고 경기회복세를 지켜보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하반기 국내 경기에 대해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 경제의 회복,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의 효과로 개선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다만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 수출 모멘텀 약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등은 성장경로의 하방위험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에 대해서는 “경제주체의 심리와 소비가 위축되면서 내수가 부진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하므로 경기판단과 경제전망의 정확성을 높이고 경제주체들에게 일관성있는 정책 시그널을 보내 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며 “성장세 회복 등을 위해 규모를 확대해온 금융중개지원대출이 보다 내실있게 운용되도록 적극 힘써야 겠다”고 강조했다.
수출은 하반기 들어서도 부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 총재는 “중국의 성장세 둔화와 수입대체 전략, 엔화와 유로화 약세에 따른 국내기업의 가격경쟁력 저하 등으로 하반기 들어서도 수출 부진이 어어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확대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높여야 한다”며 “정부와 감독당국 등과 긴밀히 협력해 가계부채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문제가 당장 경제안정을 위협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게 일반적 견해이지만 지금과 같이 빠른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가계 소비를 제약하고, 금융 시스템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 취업난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 주역으로 커나가야 할 젊은 세대의 취업난은 미래 성장잠재력을 잠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걱정스러운 일”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7월 시행을 앞둔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에 대해 “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게을리해서는 안 될 과제”라며 “정년이 연장된 간부 직원들의 경험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임금피크제가 청년층의 신규채용 확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포커스/성수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