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4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삼성서울병원이 부분 폐쇄를 결정한 것과 관련, “메르스가 진압되고 난 뒤에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을 다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 강서미즈메디병원을 찾아 의료진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2차 진원지로서 확진 환자가 많이 늘어나고 있어 대책을 세워서 빨리 확산을 막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옳은 조치였다”면서도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보건 당국의 미흡한 초동 대처방식에 대해 “2012년 9월에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신종 전염병이 메르스라고 정해졌는데 저는 그 이후 중동을 다녀온 적이 있다”면서 “‘메르스가 있고 이것은 잠복 기간이 최대 14일이기 때문에 14일 동안 몸에 발열, 기침, 감기 증상이 나면 보건소에 신고해야 된다’는 특별한 안내문을 줘야 하지 않나. 그런 걸 전혀 본 일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질병관리본부가 2012년 9월 WHO로부터 신종 전염병이 확진되고 난 뒤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없었다는 게 증명되는 것”이라면서 “적기에 빨리 진압할 수 있는 것을 이렇게 빨리 병을 키워서 문제를 만든 데 대한 책임은 반드시 지우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원영 고용복지 수석의 책임에 대해선 “그것을 이야기할 단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이번 메르스 사태를 교훈 삼아서 책임을 지울 일은 책임을 지우고 보강할 일은 보강해 국가 전체적인 방역 체계를 새롭게 만드는 좋은 계기가 돼야 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김 대표는 이날 임산부들에게 안심을 덜기 위해 산부인과 전문병원인 강서미즈메디병원을 직접 찾았다.
그는 “초저출산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임산부는 아주 특별한 존재이고 아주 소중하게 다뤄야 된다”며 “임산부들이 메르스에 대해 전연 걱정할 필요가 없다. 아무 걱정하지 말고 다니던 병원에 그대로 잘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