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취업자 청년층 감소, 고령층 증가세”
“서울 취업자 청년층 감소, 고령층 증가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9년 이후 청년취업자 꾸준히 감소…고용률도 하락”
▲ 서울연구원이 발표한‘서울의 연령대별 취업 현황은?’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고령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한 반면 서울 청년취업자 수는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최근 5년간 고령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한 반면 서울 청년취업자 수는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이 22일 발표한 ‘서울의 연령대별 취업 현황은?’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지난해 만 15~29세 청년취업자는 87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9년 서울 청년취업자 수(96만7000명)보다 10% 가량 감소한 것이다.

청년취업자 수는 2009년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며, 2010년 94만5000명으로 줄었다가 2011년 95만8000명으로 반짝 늘었으나 2012년 90만3000명으로 다시 감소했다. 2013년에는 88만1000명이었다.

이에 따라 고용률도 2009년 44.0%에서 지난해 43.7%로 떨어졌다.

반면 만 65세 이상 고령취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09년 고령취업자 수는 20만7000명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30만6000명으로 5년 만에 30만명선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고용률도 22.5%에서 27.0%로 급격히 증가했다.

5년 전 대비 임금 상승률의 경우에는 고령취업자가 청년취업자를 앞질렀다.

지난해 청년취업자의 평균 임금은 180만7000원으로 고령취업자 평균 임금 128만7000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고령취업자의 평균 임금은 5년새 25.7% 상승해, 청년취업자 15.0% 보다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지난해 청년취업자가 많은 산업은 ‘도매·소매’(17만4000명), ‘숙박·음식점’(12만8000명), ‘교육서비스’(9만6000명) 순이다.

고령취업자는 ‘도매·소매’(5만1000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4만3000명), ‘운수업’(3만1000명) 순이었다.

지난해 청년취업자의 대부분 62.9%는 대졸 이상인 반면 고령취업자는 53.8%는 중졸 이하였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