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계 대학생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이공계 분야 복수전공과 융합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인문계 전공자 취업촉진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 대학 저학년부터 진로지도 강화 ▲ 이공계 융합교육·훈련 확대 ▲ 종합적인 취업·창업 지원 등이다.
정부는 학생들이 대학 저학년부터 체계적인 진로지도를 받아 직업 목표를 세우고, 목표하는 직업에 필요한 직무역량을 키워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또 진로지도 관련 교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토록 유도하고, 진로지도 등 참여 실적과 장학금을 연결하는 ‘역량강화 포인트제’(가칭)를 확산시킬 방침이다
인턴 프로그램 등이 이공계에 편중된 점을 고려해 인문계 분야 특화프로그램을 우선 지원키로 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학사관리, 진로 탐색, 일 경험 등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학생종합경력관리시스템(가칭)도 추진한다.
특히 이공계 분야 복수전공 확대를 유도하고, 학제 간 교육과 산학협력으로 융합인력 양성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대학별 인문학과의 학과구조 및 교육과정도 학생 수요에 맞게 개편한다. 언어학, 문학,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등을 융합한 ‘글로벌 지역학’을 신설하고 경영, 디자인, 기술교육 등을 융합한 전공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인문계 대학생들이 인문학적 장점을 살리면서 기업이 요구하는 전문 기술을 익혀서 기획·관리 등 전통적인 인문계 취업 분야 이외에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종합적 취업·창업 지원으로는 청년취업아카데미, 폴리텍대학 등에서는 인문계 친화적 기술 분야의 우수 교육훈련과정을 마련한다.
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기업의 인력수요는 이공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한 반면, 인문계 대졸자는 오히려 늘어 취업난이 심해졌다”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만 의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학교육·교육훈련·취업지원서비스 등 인력공급 정책을 전공·계열의 시각에서 재검토해 개선하고, 청년 고용지원 인프라 확충·산업인력수요 전망에 기초한 인력양성, 인력수요 확대 등 종합적인 대책은 7월말 청년고용종합대책에 담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