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분노를 담아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을 행사한 이후, 새누리당이 몸을 바짝 낮추면서 야당은 마지막 희망의 보루는 정의화 국회의장밖에 없다는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새정치민주연합 강선아 부대변인은 27일 오전 논평을 내고 “새누리당은 대화와 타협이라는 원칙하에 야당과 논의해서 민주적 절차에 따라 국회법을 개정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의 불편한 심기와 분노에 놀라, 일사분란하게 개정안을 폐기하기로 당론을 모았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합리적 보수주의자를 자처하며 여야를 망라해 새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한 유승민 원내대표가 무릎이 바닥에 닳도록 애절하게 대통령을 향해 사죄를 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절망을 느낀다”며 “집권 여당의 당대표, 원대대표까지도 대통령 앞에서는 힘없는 허수아비에 불과하다”고 맹비난했다.
강 부대변인은 이어, “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정의화 국회의장이 입법부 수장으로서 중심을 잡는 일”이라며 “정 의장은 ‘재의불참’을 결정한 새누리당을 향해 ‘정정당당하게 재의에 임하라’고 말했다. 또 ‘국회의원들은 어떤 계산보다 국회의 권능과 권위를 생각해 재의에 임해주는 게 맞다”고 말했다.
또, “국회의 권위에 더해 3권 분립이라는 민주주의의 원칙을 수호하기 위해서도 재의는 당연하다”며 “입법부의 수장으로서 국민을 보고 정치를 해야지 대통령을 보고 정치를 해서는 안 된다. 다시 한 번 국회의장의 단호하고 책임 있는 국회법 개정안 재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의화 국회의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25일 입장문을 내고 “참으로 안타까운 상황”이라면서도 “국회의장으로서 저는 대통령의 재의요구를 헌법에 따라 본회의에 부쳐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