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가속화되고 있어 가계부채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자영업자 수는 546만3000명으로, 1년 전(551만2천명)과 비교해 4만9000명 줄었다.
1분기 기준 자영업자 수가 준 것은 2011년 베이비부머 은퇴 본격화 영향 등으로 539만9000명에서 2012년 554만8000명으로 늘었지만, 2013년 552만명(-2만8천명), 2014년 551만2천명(-8천명)으로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영향이 크다.
내수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올해는 자영업자 수 감소폭이 5만명에 달했다. 다만 50대 이상 자영업자 수는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의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 50세 미만 자영업자 수는 2007년 324만명에서 2013년 246만명으로 줄었지만, 50세 이상 자영업자 수는 같은 기간 289만명에서 328만명으로 늘었다. 50세 이상이 전체 자영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47.1%에서 57.1%로 대폭 증가했다.
한국은 자영업자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이어서 자영업자 감소 추세가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주 현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구조적 측면에서 자영업자 비중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더 하락할 수밖에 없다”면서 “장기적으로는 OECD 평균 수준으로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정책동향분석실장은 “전체 자영업자 수 감소는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자영업으로의 진입이 계속 이뤄지는 가운데 퇴출이 그보다 더 많다는 뜻”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가계부채가 더 많이 늘어나게 되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