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두고 청와대와 당내 친박계가 거센 사퇴 압박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비박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서면서 친박 vs 비박 전면전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비박계 중진 정두언 의원은 29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여당 의원이 뽑은 원내대표를 청와대가 사퇴하라는 것은 과거 군사독재 정부 시절 대의 얘기 같다”며 “우리 손으로 뽑은 우리 원내대표를 쫓아내는 것은 좌시하지 않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정두언 의원은 그러면서 “세종 때 조원이란 사람이 임금을 비판했다는 고변이 들어와 중형에 처하려 했는데, 세종은 그를 풀어주라고 했다”며 “링컨과 당태종 등도 관용의 정치를 폈다. 박근혜 대통령께서도 유 원내대표를 끌어안는 통 큰 지도자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박 대통령께서 폐쇄적인 신하들에 둘러싸인 ‘벌거숭이 임금님’이 되지 않으려면 당내 다수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게 필요하다”면서 “경제가 추락하고 메르스 사태로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여권이 민생과 무관한 권력 투쟁을 벌이는 것은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특히, 정 의원은 이번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관련해 “여권의 미래를 판가름할 노선 투쟁”이라며 “여권이 시대를 역행하는 ‘꼴통보수’로 갈지, 아니면 박근혜 시대를 넘어 ‘개혁 보수’로 갈지의 갈림길”이라고 규정했다.
김성태 의원도 이날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 인터뷰에서 친박계의 유 원내대표 사퇴 요구와 관련해 “단지 청와대와의 관계를 고려해 물러나라고 여당 원내대표를 흔드는 것은 수평적이고 건강한 당청관계를 부정하려는 시도로 보일 수 있다”며 “지금 당청 관계를 대립과 갈등으로 몰고 가려는 세력이 있다면 그야말로 국민에 대한 배신의 정치이고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망치려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김 의원은 이어, “그동안 잘 소통되지 않던 이런 모든 부분을 유승민 원내대표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본다”며 “새누리당 전체 의원들이 다 책임져야지 어떻게 다 유승민한테 책임을 몰아줄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원조 친박이지만, 최근 청와대에 대한 비판도 서슴지 않고 있는 이혜훈 전 최고위원 역시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 인터뷰에서 “마치 본인(유승민) 때문에 국정이 모두 중단되는 것 같이 언론들이 보도하고 또 친박들이 그렇게 주장하는데, 이렇게 시달리면 누군들 그 자리에 있고 싶겠냐”고 말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유승민 원내대표는 선출될 때도 압도적인 의원들 표로 선출이 됐고, 이번에 사퇴하느냐 마느냐 하는 의총이 열렸을 때도 40명 발언했다는 사람들 중에 사퇴를 요구한 사람은 2~3명이었다고 보도가 됐다”며 “그리고 나머지 2~3명도 책임이 있다는 정도의 발언을 하고 나머지 의원들은 사퇴하면 안 된다고 발언했다는 보도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에 대해 “의원들이 압도적으로 재신임을 해준 것 아니겠냐”며 “그러면 의원들 뜻에 따라야 하지 않겠냐”고 강조했다.
‘원내대표는 한 개인의 국회의원 이전에 당의 정치를 해야 되는데 개인의 정치를 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개인의 정치를 어떤 걸 한 게 있는지 그분들에게 구체적으로 적시하라고 묻고 싶다”며 “당의 의총에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결론이 난 대로 했고 최고위원회의에서도 결론이 난 대로 했고, 그리고 그 결론에 대해 국회의원 211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211명이 찬성하는 결과였는데 어떻게 그게 한 개인의 정치였냐”고 따져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