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친이계 좌장이면서 비박계의 맏형격인 이재오 최고위원은 최근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논란과 관련 “권력을 가진 자가 자기 의도대로 당을 움직이려고 한다면 그것은 사당화”라고 쓴소리를 냈다.
이재오 최고위원은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자기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당에서 다 나가야 한다, 자리에서 다 내놓아야 한다, 또 나는 당신들과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내가 당을 나간다, 이렇게 하면 이건 정당이 아니고 사당”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민주정당이라고 하는 건 각기 다른 계층, 다른 지역과 다른 견해들을 하나로 최선으로 묶어서 이걸 국정에 반영해 나가는 것. 이것이 정당의 기본적인 책무”라면서 “정당의 기본적인 책무를 무시하면 이건 당이 아니고 사당화가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유승민 원내대표를 향한 발언에 대해선 “국회법 개정안을 거부할 수는 있습니다. 그건 헌법에 보장된 권한”이라면서도 “거부를 할 때, 국회에 재의를 해달라고 돌려보낼 때 그냥 국회법 재의에 대한 말씀만 하면 된다. 본질은 국회법 재의인데 거기에 정치적인 많은 공격을 담고 있으니까 사태의 본질이 완전히 잘못 전개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유 원내대표의 사퇴와 관련해 “해야 할 명분도 없고 사퇴를 할 만한 책임이 없지 않는가?”라면서 “의원총회 결과는 청와대에 한마디도 전달을 안 하고, 청와대 이야기만 의원들에게 풀어서 사퇴를 강하게 요구를 하는 건 옳지 않다. 최고위원들 개개인이 의원총회에서 뽑은 원내대표를 그만두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당내 갈등이 고조되는 것에 대해선 “지금 이건 이 정도에서 그만하고. 서로 의견의 차이를 알았으니까 당의 민주적 발전에 건강하게 도움이 되도록 서로가 이해를 하고 그만 해야 한다”며 “정쟁을 그만하고 국정 현안에 전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의 개헌추진의원모임 고문을 맡고 있는 이 최고위원은 이번 당청 갈등 상황 속에 개헌이 더욱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권력도 대통령이 막강하지만 제왕적이지만. 책임도 제왕적이어야 하는데, 내각 수반과 국가원수를 겸하다 보니까 권력은 제왕적으로 행사를 하는데 책임은 제왕적으로 안 진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이제는 좀 개헌을 할 때가 됐다”면서 “국민들 여론도 지금 상당히 그런 쪽으로 가고 있습니다마는, 적어도 국회의원들은 이제는 진짜 개헌해야 된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