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들이 정부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감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하위 그룹들의 일감 몰아주기가 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오뚜기는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53.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국내 100대 그룹 중 공정거래위원회의 출자총액제한 규제를 받는 49개 그룹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 계열사 비중은 13.4%인 것과 비교해 하위 51개 그룹의 경우 이 보다 1.4%p 높은 14.8% 인 것으로 집계됐다. 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 역시 상위 49개 기업보다 하위 51개 그룹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5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자산규모 기준 100대 그룹 중 출자총액제한 규제를 받는 49개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51개 그룹의 계열사간 거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 기준에 해당하는 계열사가 총 144곳으로 집계됐다. 51개 그룹 전체 계열사 972곳의 14.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는 현재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감시를 받고 있는 상위 49개 그룹의 평균 규제대상 기업 비중 13.4%보다 1.4%p 높은 수치다.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 따르면 공정거래법상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그룹에서 총수일가 지분이 상장사 30% 이상, 비상장사는 20% 이상인 계열사는 제재를 받게된다.
오뚜기 등 3개 그룹은 전체 계열사의 절반 이상이 감시 대상에 해당했고 이외 16개 그룹도 계열사 비중이 20%를 넘었다. 오뚜기의 경우는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53.8%로 가장 높았고, 전체 13개사 중 7곳이 규제 대상이었다.
그룹의 주 계열사인 오뚜기라면은 함태호 그룹 명예회장(24.7%)과 아들인 함영준 회장(10.9%) 등 총수일가가 지분 35.6%를 가지고 있었다. 지난해 매출 4716억원 중 내부거래 금액이 4694억원으로 그 비중이 99.5%에 달했다. 함 명예회장의 동생인 함창호 회장이 46.4% 지분을 보유한 상미식품 역시 734억원 중 98.2%인 720억원이 내부거래를 통한 것이었다.
성우하이텍과 희성그룹은 전체 8개 계열사 중 4곳(50%)이 규제 대상에 속했고, 신안은 21개사 중 10곳(47.6%)이 규제대상에 해당했다. 다음으로 일진(39.3%), 셀트리온(37.5%), 무림·고려제강(36.4%), 넥센·S&T(33.3%), 선명(31.6%) 순으로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높았다. 농심과 교원, SPC, KPX, 한일시멘트, 동서, 대상, 보광 등 8개 그룹도 규제대상 계열사 비중이 20% 이상이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