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그룹 일감몰아주기 더 심각…오뚜기 최고 수준
중견그룹 일감몰아주기 더 심각…오뚜기 최고 수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뚜기, 계열사 13곳 중 7곳이 규제 대상
▲ 하위 그룹들의 일감 몰아주기가 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오뚜기가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혔다.ⓒ오뚜기

대기업들이 정부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감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하위 그룹들의 일감 몰아주기가 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오뚜기는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53.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국내 100대 그룹 중 공정거래위원회의 출자총액제한 규제를 받는 49개 그룹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 계열사 비중은 13.4%인 것과 비교해 하위 51개 그룹의 경우 이 보다 1.4%p 높은 14.8% 인 것으로 집계됐다. 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 역시 상위 49개 기업보다 하위 51개 그룹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5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자산규모 기준 100대 그룹 중 출자총액제한 규제를 받는 49개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51개 그룹의 계열사간 거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 기준에 해당하는 계열사가 총 144곳으로 집계됐다. 51개 그룹 전체 계열사 972곳의 14.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는 현재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감시를 받고 있는 상위 49개 그룹의 평균 규제대상 기업 비중 13.4%보다 1.4%p 높은 수치다.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 따르면 공정거래법상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그룹에서 총수일가 지분이 상장사 30% 이상, 비상장사는 20% 이상인 계열사는 제재를 받게된다.

오뚜기 등 3개 그룹은 전체 계열사의 절반 이상이 감시 대상에 해당했고 이외 16개 그룹도 계열사 비중이 20%를 넘었다. 오뚜기의 경우는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53.8%로 가장 높았고, 전체 13개사 중 7곳이 규제 대상이었다.

그룹의 주 계열사인 오뚜기라면은 함태호 그룹 명예회장(24.7%)과 아들인 함영준 회장(10.9%) 등 총수일가가 지분 35.6%를 가지고 있었다. 지난해 매출 4716억원 중 내부거래 금액이 4694억원으로 그 비중이 99.5%에 달했다. 함 명예회장의 동생인 함창호 회장이 46.4% 지분을 보유한 상미식품 역시 734억원 중 98.2%인 720억원이 내부거래를 통한 것이었다.

성우하이텍과 희성그룹은 전체 8개 계열사 중 4곳(50%)이 규제 대상에 속했고, 신안은 21개사 중 10곳(47.6%)이 규제대상에 해당했다. 다음으로 일진(39.3%), 셀트리온(37.5%), 무림·고려제강(36.4%), 넥센·S&T(33.3%), 선명(31.6%) 순으로 규제 대상 계열사 비중이 높았다. 농심과 교원, SPC, KPX, 한일시멘트, 동서, 대상, 보광 등 8개 그룹도 규제대상 계열사 비중이 20% 이상이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