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징용’ 사실 반영…윤병세 “외교 값진 성과”
‘조선인 징용’ 사실 반영…윤병세 “외교 값진 성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日 “희생자 기리기 위해 정보 센터 설치 등 조치할 것”
▲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이 반영된 일본 근대산업시설이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됐다.ⓒ뉴시스

일본 근대산업시설이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이 반영돼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5일 등재됐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는 정상외교, 외교장관회담, 의원외교, 국제사회와의 공조 등 우리의 전방위적 외교노력이 이뤄낸 값진 성과”고 말했다.

그는 “오늘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가 우리의 정당한 우려가 충실히 반영되는 형태로 결정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 장관은 “이번 세계유산 등재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역사적 사실이 있는 그대로 반영돼야 한다’는 우리의 원칙과 입장을 관철시켰다”며 “그 과정에 있어서도 한·일 양국간 극한 대립을 피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낼 수 있었다”라고 자평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최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과 관련된 긍정적 움직임에 더해 이번 문제가 대화를 통해 원만히 해결된 것을 계기로 한·일 양국이 선순환적 관계 발전을 도모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21개 회원국은 독일 본에서 회의를 열고 만장일치로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키로 결정했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곳은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군’은 규슈와 야마구치 인근 지역에 있는 제철소 9곳, 조선소 5곳, 탄광 3곳, 비산업시설 5곳을 포함한 23개 시설이다. 이 가운데 7곳에 조선인 약 5만7900명이 일제강점기 당시 노역 등에 강제 동원됐다.

앞서 등재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을 두고 우리 정부는 이 사실을 반영해 등재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발표한 발언문을 통해 “과거 1940년대에 한국인 등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했던 일이 있었으며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정보 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정부는 2017년 12월까지 세계유산위원회에 강제징용 사실 명시 관련 이행 경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는 일본정부의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