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은 5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시설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직후 도쿄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대사의 발언에 대해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토 대사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들을 상대로 한 세계 유산 등재 관련 성명에서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 의사에 반하여 동원되어 가혹한 조건 하에서 강제로 노역하였으며(forced to work),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하였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성명문구 중 ‘forced to work'의 표현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이 내놓은 해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비쳐진다.
한국은 ‘강제 노역’으로 해석했지만, 일본은 일어판 번역문에서 원하지 않음에도 ‘일하게 됐다’는 표현을 사용하여 ‘강제성’에 대해 이른바 ‘물타기’에 나섰다.
스가 관방장관 역시 6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forced to work'가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시다 외무상이 명확히 했다고 재확인하였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6일 'forced to work'에 대한 일본측 해석에 대해 일본 보수진영의 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국내용 해석으로 보고 “일본측이 세계유산회의에서 발언한 영문 문안을 그대로 보라”며 “일본의 기자회견 내용까지 우리 정부가 일일이 코멘트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정부는 일본의 이 같은 발언에 민감하게 반응할 경우 협상을 통해 이룬 강제노동 인정을 오히려 망칠 수 있다 보고 대응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