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메르스 역학조사 과정에 비협조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삼성서울병원에 다른 대형병원들보다 진단시약을 먼저 제공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실상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정부의 특혜 의혹이 또 드러난 것이다. 앞서는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원격 의료를 허용해준 특혜가 드러났다며 야당이 맹반발했던 바 있다.
7일 정의당 정진후 의원에 따르면, 메르스 진단 검사는 초기 국립보건연구원에서만 독점적으로 시행됐었다. 그러나 이후 메르스 확산으로 의심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신속한 진단검사를 위해 검사처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5월 29일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을 대상으로 메르스 유전자 검사시약을 배포하고 해당 기관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특별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까지 진단검사 기관을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메르스 확대로 인한 검사수요를 감당하지 못하자 6월 3일 민간 검사기관 5곳(의료법인 녹십자의료재단, 서울의과학연구소, 씨젠의료재단, 이원의료재단, 심광의료재단)에 추가적으로 검사 위탁을 결정했다.
이후 6월 4일에는 메르스 일일상황보고 브리핑을 통해 ‘대형병원의 경우 검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정진후 의원은 이와 관련, “문제는 정부의 이러한 메르스 진단검사 확대 이전에 이미 삼성서울병원에 메르스 진단 검사 시약이 제공되었다는 것”이라며 “사실상 특혜가 제공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은 6월 2일 질병관리본부에 보내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유전자검사를 위한 시약 공급 요청’ 공문을 작성했고, 3일 질병관리본부에 공문을 보냈다. 그리고 질병관리본부는 삼성서울병원의 요청에 진단시약을 제공했다.
정 의원은 “6월 2일은 보건당국이 삼성서울병원 의사 환자(35번)의 메르스 확진을 확인하고 삼성서울병원에 통보한 날”이라며 “그러나 보건당국은 이 환자의 확진발표를 6월 4일에서야 했다. 2~3일 사이의 공백이 있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대해 보건당국은 ‘재검사를 하려고 했으나 하지 않았다’고 발표한바 있다”며 “삼성서울병원이 자체적으로 재검을 하기 위해 보건당국에 35번 환자의 확진발표를 늦춰달라고 한 것이 아닌지 의심이 가는 부분”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정부가 대형병원에 메르스 진단검사를 허용하겠다고 밝힌 시점이 6월 4일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이미 삼성서울병원에 진단시약을 제공한 이후”라며 “즉,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우선 진단검사를 하도록 특혜를 제공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는 부분”이라고 꼬집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초기 보건당국은 메르스 진단검사가 식약처 허가를 받지 않아 이를 민간에서 시행하도록 하는 것을 주저하다가 정작 삼성서울병원의 요청에 진단시약을 배포한 이후 대형병원에 배포하기로 방침을 발표한 것은 물론 사후적으로 식약처와 협의를 통해 가능하다고 정리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정부는 메르스 진단 시약을 삼성서울병원에 먼저 제공하고 이후 이를 무마하기 위해 민간검사를 허용하는 방침을 발표했다”며 “초기 메르스 대응 실패가 처음 접하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부족이 아닌 삼성에 끌려 다닌 정부의 무능력에 있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