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朴, “왜 유승민만 문제냐” 지도부 공동 책임론
非朴, “왜 유승민만 문제냐” 지도부 공동 책임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령 잘못 있다면 원내대표뿐 아니라, 지도부 공동 책임져야”
▲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놓고 여권 계파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8일 의원총회를 열고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논의하기로 한 가운데, 비박계는 문제가 있다면 유 원내대표만이 아닌 지도부 모두가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새누리당 최고위원회가 사실상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사퇴를 권고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새누리당 최고위는 7일 오전 긴급 최고위를 열고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둘러싼 당내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8일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그런데 최고위는 이 의원총회에서 유 원내대표에 대한 사퇴권고 결의안을 채택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

문제는 여기서 발생했다. 비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결론을 미리 정해놓은 의원총회를 개최한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는 반발이 터져 나온 것. 아울러, 의원들이 뽑은 원내대표를 최고위나 의총이 무슨 권한으로 원내대표를 사퇴시킬 수 있느냐는 지적도 쏟아져 나왔다.

비박계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당은 당초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 채택의 건’으로 잡았던 의총 안건을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비박계의 분노는 이미 들불처럼 번져가고 있다. 또, 비박계는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방어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최고위원 전원 책임론까지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왜 이번 사태가 문제라면, 유승민 원내대표 한 사람만의 문제가 될 수 있느냐는 문제제기다.

이 때문에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는 새누리당 지도부 전체 거취 문제로 확전되고 있다. 유승민 원내대표를 끌어내리려거든, 친박 지도부 또한 다 같이 내려와야 한다는 비박계의 반격이 매섭게 몰아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냐, 청와대 맹종부냐”
새누리당이 8일 의원총회를 열어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거취 문제를 논의키로 한 것과 관련해 당내 비박계 정두언 의원은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부터 거취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지도부 전체 책임론을 꺼내들고 나섰다.

정두언 의원은 7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사태를 야기한 국회법 개정안 처리는 지도부도 승인한 사항”이라며 “설령 잘못이 있다면 원내대표뿐 아니라 지도부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새누리당 최고위원회는 원내대표의 책임을 묻기 전에 스스로도 책임을 져야 했음에도, 아무런 근거도 없이 정당 사상 초유의 해괴한 결정을 내렸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이에, 정 의원은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는 원내대표를 사퇴시키기 전에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자신들의 거취를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무성 대표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당원 및 지지자들을 대변하고 보호해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며 “그런데 이 지도부가 오히려 소속 국회의원들의 손으로 뽑은 원내대표를 보호하기는커녕 청와대의 뜻에 따라 쫓아내려 하고 있다”고 거듭 비난했다.

정 의원은 특히, “이 지도부는 새누리당의 지도부인가, 아니면 청와대의 맹종부인가”라고 덧붙여 비난하기도 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도 “2002년 2월 당시 한나라당이 ‘이회창 총재의 1인 지배 정당’이라고 비난하며 상향식 공천제와 당권-대권 분리를 주장하다가 탈당했다”며 “만약 그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 새누리당의 대표라면 청와대의 압력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을까 궁금하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이재오 “1996년 입당 이래 이토록 참담한 때 없었다”
김용태 의원 또한 이날 ‘내일 의총에 대한 입장’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국회법 파문 문제는 유승민 원내대표 혼자가 아니라 최고위원 전부 책임져야 한다”며 “당 최고위가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 사퇴 결의안을 낼 권한은 없다. 의총의 권능을 무시하는 최고위 월권행위는 당장 중단돼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김 의원의 이 같은 입장은 당내 재선그룹의 전반적 분위기를 종합해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친이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 역시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참으로 참담하다. 내가 입당한 1996년 이래 이토록 참담한 때가 없었다”며 “오늘 최고위 결정은 후안무치한 결정으로 즉각 취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모든 결정은 최고위가 사실상 해놓고 청와대 말 한마디에 원내내표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정치 도의적으로도 파렴치하다”며 “청와대가 국회법 개정안의 재의 요구를 할 수는 있어도 원내대표를 그만 두게 할 수는 없다”고 일갈했다.

이어, “여당은 정부를 뒷받침해야 하지만 정부의 잘못까지 감싸고 대변하는 것은 민주정당임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최고위는 의총이라는 이름을 빌려 그들의 책임을 회피하고 의총에서의 재신임까지 뒤엎고 청와대 지시에 충실한다고 한다면, 더 이상 최고위는 존재 이유도 존재가치도 없다. 지금 물러나야 될 사람들은 최고위원들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원들이 선출하고 재신임까지 한 원내대표를 권력의 이름으로 몰아내고도 어떻게 정치혁신을 감히 말할 수있겠는가. 이러한 당에 미래가 있겠냐”고 따져 물으며 “끝없는 권력 투쟁만 되풀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의원은 “그러므로 원내대표를 억지부려 내쫓지 말고 최고위는 이성과 평상심을 가져야 한다”며 “내일 의총이 민주정당의 대의에 반하지 않게끔 해야 한다. 원내대표 내쫓는 일은 그만두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덧붙여 “우리에게는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의 대업이 있다”며 “작은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가 되자. 내일 의총은 밤을 새서라도 당의 미래와 정치혁신에 대해서 끝장토론을 할 것을 제의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