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해외진출…‘'순환근무제·보상성 인사’에 발목
은행 해외진출…‘'순환근무제·보상성 인사’에 발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SOC 금융시장 높은 외화대출 금리와 경험부족 등 장애 있어
▲ 금융위원회는 10일 임종룡 위원장과 시중은행 인사 담당자들이 만나 ‘시중은행과 글로벌 역량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해외진출에 대한 어려움을 전했다고 밝혔다. ⓒ뉴시스

시중은행들이 금융당국 수장에 해외진출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임종룡 위원장과 시중은행 인사 담당자들이 만나 ‘시중은행과 글로벌 역량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해외진출에 대한 어려움을 전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내년에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본격 출범하게 되면 해외간접자본(SOC) 금융시장에서 많은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며 해외진출을 독려했다.

반면 시중은행들은 해외SOC 금융시장에서 높은 외화대출 금리와 경험부족 등으로 곤란이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3년 교체의 순환근무제 ▲단기 및 보상성 인사관행 ▲현지인 점포장 활용 저조 ▲중·장기 전략 부족 등이 해외진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해외근무자를 공모·선발 원칙으로 인력을 육성하고 현지 우수인력 선발 및 정책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장담하지 못했다.

해외SOC금융에 대해서도 은행들은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역량과 경험의 부족으로 “공동참여 등을 통한 경험축적 체계구축 등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 위원장은 “해외금융당국과 해외진출 여건을 조성하겠다”며 “금융회사가 해외진출 경험과 역량을 축적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