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균 배달사고 본격 조사… 한·미 합동실무단 구성
탄저균 배달사고 본격 조사… 한·미 합동실무단 구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실관계 확인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 한국과 미국 정부가 탄저균 표본 배달사고를 조사할 합동실무단을 꾸린다고 밝혔다. ⓒ뉴시스

한국과 미국 정부가 지난 12일 탄저균 표본 배달사고를 조사할 합동실무단을 꾸린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전날 “지난 5월말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는 탄저균 실험 표본이 생물 방어 장비 시연회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주한미군 내 실험 시설에 배달된 사고와 관련해 한·미 합동실무단을 구성·운영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 합동실무단은 사실관계 확인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SOFA(주한미군지위협정) 합동위원회 산하에 양측 관계부처와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 한다.

합동실무단장은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이 맡게 됐다.

앞서 탄저균 배달사고는 주한미군이 지난 4월 26일 ‘주피터 프로그램(생물탐지 분석체계)’을 시연하기 위해 불활성화 처리를 한 탄저균 샘플을 경기도 오산 미군기지에 반입해 논란이 됐다.

‘주피터 프로그램’은 북한의 생화학 무기 위협에 대비할 목적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당시 미국 국방부가 5월 27일 ‘배달된 탄저균 샘플이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통보하자 주한미군은 이 샘플을 폐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