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14일 국방부 소속 영관장교가 이탈리아 해킹업체인 ‘해킹팀’과 접촉한 데 대해 “의도적으로 만나서 해킹 프로그램을 확보하기 위한 게 아니고, 전시회 세미나에 참석하던 중에 다수의 보안업체 사람을 만나다가 그 중에 한 사람”이었다고 해명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허모 중령 등 5명이 지난 3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사이버 보안분야 세미나 ‘2015 Global Security Asia(GSA)’에 참가해 다수의 보안업체 관계자를 만났고, 이 가운데 ‘해킹팀’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만나면 인적사항을 서로 주고받고, 이메일을 주고받는 게 일반적인 인사하는 방식”이라며 “워낙 여러 사람들을 만나다 보니까 그리고 귀국 후에도 보고한 내용도 없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이메일 수신 관련해서는 허 중령의 메일을 확인했는데 이탈리아 해킹팀에서 발송했다는 이메일은 현재 저장돼 있지 않다”면서 “허모 중령은 이탈리아 해킹업체 관계자를 만난 사실을 별로 기억하지 못하고 있으며 메일을 접수한 사실이나 메일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발송과정에서 메일이 유실될 수도 있고, 또 메일발송 시점이 전시회 참가 후 상당시간이 경과된 뒤에 받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단순열람 후에 삭제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새정치민주연합 송호창 의원이 제기한 기무사의 대규모 감청장비 구입 의혹 관련, 한 관계자를 통해 “감청장비 노후로 21대를 2012년에 도입했다”면서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국가안보 및 범죄수사 목적으로 대통령 및 법원 승인을 받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 감청하고 있다”고 합법적인 절차란 입장을 전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