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전국 40명 수준의 문화재 전문 수사관 구성
경찰청, 전국 40명 수준의 문화재 전문 수사관 구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30년간 도난 문화재 2만7675건…83% 회수 못해
▲ 경찰청이 문화재 도난 및 해외 밀반출 등의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문화재 전문 수사관’을 구성한다. ⓒ사이버경찰청

경찰청이 문화재 도난 및 해외 밀반출 등의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재 전문 수사관’을 구성한다.

경찰청은 19일 인사, 교육체계 개선, 수사전문가 양성, 관련 수사 융합, 협업 강화 등 문화재 보호와 문화재 분야 부패척결을 위해 근본적인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 통계에 따르면 1985년부터 30년 동안 도난 된 문화재는 총 2만7675점인데 비해 회수된 것은 4757건(17%)에 불과했다. 나머지 83% 상당은 회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경찰은 문화재 사범 수사를 위해 특별단속 등 단속활동을 강화하고 지난해 경찰청-문화재-조계종 간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문화재 분야 전문가의 부족으로 정보 수집이나 사건 진행을 일부 수사관의 개인역량에 의존하거나 체계적인 전문 수사관 양성 등 교육시스템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경찰은 문화재 관련 전문 인력을 선발해 인사·교육체계 개선을 통한 ‘문화재 전문 수사관’을 유도해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고, 장기근무를 유도, 수사전문화까지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고고학, 전통건축학, 민속학 등 문화재 관련 학과 전공자와 문화재 수사 유경험자를 중심으로 전국 40명 내외의 ‘문화재 전문 수사관’을 구성할 계획이다.

선발된 수사관들은 문화재청 산하 ‘국립전통문화교육원’에서 직무·전문교육과정 중 수사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이후 각 지방청 지능범죄수사대 등 전문 수사부서에 2~3명씩 배치해 문화재 관련 수사를 전담하게 된다.

경찰은 문화재 전문 수사관이 도난이나 도굴, 외국 밀반출 수사는 물론 부패비리까지 담당하면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문화재청과 도난 문화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학계, 문화재 위원, 수리기술자, 향토 사학자 등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을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여민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