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부총리는 20일 충남 천안고용복지센터와 한국기술교육대 제2캠퍼스를 방문해 취업지원 상담·알선 현장을 둘러보고 청년고용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대면한 자리에서 이 같이 전했다.
최 부총리는 “우리 경제 가장 시급한 화두가 청년고용절벽인 만큼 역량을 최대한 집중하겠다”며 “세제개편안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덧붙여 “물론 기업들이 세제혜택을 받기 위해 청년을 뽑겠냐는 지적이 있을수는 있지만 기업들의 채용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청년 근로자수가 일정기준 이상 증가한 기업에 대해 세액을 공제하는 청년고용증대세제에 대해서는 “대기업에게도 혜택을 주겠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차등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청년고용을 늘리는 기업은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통해 임금피크제를 확산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노동시장 개혁을 추진하고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통해 우리경제의 청년고용 창출능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전했다.
정부는 또 짧은 시간 안에 청년 일자리 확보 여력이 있는 분야를 개척할 방침이다.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교원 명예퇴직,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한 간호인력 채용, 어린이집·유치원 교사 채용 확대 등을 꼽고있다.
학교와 고용 현장간의 거리도 좁힌다. 기업맞춤형 교육과 일·학습 병행제가 확산되도록 할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5년, 10년 뒤의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을 제대로 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의 학사구조를 개편하겠다”며 “고용서비스의 전달체계도 수요자 중심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고쳐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는 “청년일자리 사업은 중견기업 인턴, 대기업 직업훈련을 새로 도입하고 규모도 각각 5만명으로 늘릴 것”이라며 “취업연계형으로 재설계하고 인센티브도 차등화해 고용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