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인 안철수 전 대표는 21일 국가정보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7개 분야 30개 종류의 자료를 정보위와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를 통해 국정원과 SK텔레콤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당 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원과 여당은 정쟁을 중단하고 국정원이 본연의 안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본 위원회의 자료 요구에 성실히 응해 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 전 대표는 RCS 프로그램의 테스트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로그파일을 공개해야 한다며 “출력한 유인물이 아닌 파일 자체를 제출해 달라. 원본 공개가 핵심적 문제 중 하나”라고 역설했다.
이어 그는 “컴퓨터 로그 파일에는 무엇을 해킹했는지 모든 정보가 남는다”며 “파일을 분석하면 타겟 단말기 모델명과 국내 민간인 여부가 확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 전 대표는 RCS 로그파일 외 구매 관련 목적, 계약내역, 유사프로그램 구매여부, 예·결산 자료, 감청단말기 수, 사망한 직원 관련 내부 감찰 보고서, 해킹팀과 국정원이 주고받은 메일 등도 요청할 예정이라 밝혔다.
한편 안 전 대표는 사망한 국정원 직원 임모씨의 파일 삭제와 관련해 “현 부서가 아닌 과거 일했던 부서의 파일을 삭제했다”며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였다.
안 전 대표는 “원래 정보기관에서 파일 삭제는 실무자 선에서 이뤄지지 않아야 한다. 실무자는 운용만하고, 상급자가 (삭제 권한을) 가져야 한다”면서 “제대로 된 정보기관이라면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안 전 대표는 국정원이 직원명의의 성명을 낸 것과 관련, “공작정치에 버금가는 대응”이라며 “국가정보기관으로서 매우 이례적이고 공격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아울러 그는 “여당 또한 국회의원의 입장에서 진상규명하기보단 파문 차단과 의혹 축소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심지어 국민정보지킴이 위원장인 저에 대한 개인적 정치 공격을 하며 정쟁화에 앞장서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